조준래 준위, 28년 함정근무…해군 준사관 중 최장기 함정근무 경력 보유
33년 군 복무 기간 중 28년을 묵묵히 함정에서만 근무해 온 조귀래(53) 해군 준위가 올해 처음으로 제정된 명예해군상을 받았다.
해군본부는 16일 경남 창원 해군사관학교에서 열린 후반기 해군지휘관회의에서 기뢰부설함 원산함 보수관인 조 준위 등 4명이 명예해군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조 준위는 해병교육단 수색교육대 교관인 정무운 상사와 함께 명예해군상 '명예' 부문 수상자로 선정됐다. '헌신'과 '용기' 부문에는 해군포항병원 이가영 대위와 잠수함 장보고함 전자부사관인 한상민 하사가 각각 선정됐다.
조 준위는 1982년 해군에 입대해 이듬해 5월 해군부사관 84기로 임관, 고속수송함 경남함을 시작으로 초계함 2척·상륙함 3척·특수전지원함 1척·고속정 3척·호위함 1척·군수지원함 1척·구축함 1척·기뢰부설함 1척 등 총 14척의 함정에서 디젤엔진 운용과 함정 보수 임무를 수행하며 우리 바다를 지켰다.
조 준위는 33년의 군 복무 기간 중 28년간 함정근무를 했다. 해군 준사관 중 최장기 함정근무 경력을 보유하고 있다.
조 준위는 중사 때 한 차례, 준사관 진급 후 두 차례 등 총 세 차례만 육상근무를 했다고 한다. 해군 준·부사관의 경우 평균적으로 30년의 군 복무 중 20여년을 해상근무로 보내는 것을 고려하면 조 준위의 경력은 이례적이라는 게 해군의 설명이다.
조 준위는 해군작전사령부와 1·2·3함대 등 전 함대와 모든 해역에서 함정근무를 경험한 것으로 전해졌다. 해군 관계자는 "조 준위는 청해부대 4진(강감찬함)으로 해외파병도 다녀왔고 순항훈련도 두 번이나 참가했다"며 "조 준위는 청해부대 파병경험을 군 생활 중 가장 보람 있었던 일로 꼽았다"고 전했다.
2018년 6년 전역할 예정인 조 준위는 마지막 보직으로 함정 근무를 자원해 지난 7월부터 원산함에서 근무하고 있다. 조 준위는 "함정 근무를 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은 두 아들이 '출동 나가지 말고 같이 있어 달라'고 할 때였다"며 "함정 근무를 마지막까지 할 수 있도록 배려해 준 해군과 그동안 묵묵히 성원해준 가족에게 감사한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조 준위와 함께 '명예' 부문 상을 받은 정무운 상사는 22년의 군 복무 기간중 12년을 해병대 최정예 부대로 꼽히는 수색대대에서 근무했다.
'헌신' 부문 수상자인 이가영 대위는 올해 초 서아프리카 에볼라 긴급 구호대에 자원해 5주 동안 시에라리온에서 에볼라 감염 환자를 치료했고 지난해 세월호 참사 당시 범정부사고대책본부에 파견돼 진도체육관에서 희생자 가족들을 돌봤다.
'용기' 부문 수상자인 한상민 하사는 지난해 11월 울산 현대중공업에서 당직 근무를 하다가 건조 중인 잠수함에서 화재가 발생하자 가장 먼저 소화기를 들고 뛰어 들어갔으며 소방관들과 함께 발화 지점까지 소화호스를 들고 같이 진입해 인화물질을 제거하는 등 무사히 화재를 진압했다.
이날 시상식을 주관한 정호섭 해군참모총장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강한 해군과 해병대 건설을 위해 묵묵히 최선을 다한 수상자들이야말로 군인의 명예가 무엇인지 실천으로 보여준 영웅들"이라고 치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