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는 30일 이번 총선 공천 때부터 안심번호를 활용하자는 김무성 대표의 입장에 대해 '수용 불가' 방침을 밝히며 반발했다.
새누리당 공천제도특별위원회(위원장 황진하) 위원이자 친박계 핵심인 김태흠 의원은 이날 오후 제5차 전체회의에 출석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중간중간에 이거 바꿔라, 저거 바꿔라. 이럴바에야 최고위에서 공천 룰을 정하고 추인하라. 이게 뭐 하는 짓이냐"고 강력 반발했다.
김 의원은 이어 "안심번호 제도가 물리적·기술적으로 여러 가지 측면에서 (도입이) 어렵다는 부분을 의견일치 봤는데, 당대표가 나서서 또다시 가능할 것처럼 하는 것은 국민에게 혼선을 주고, 당원들에게 혼선을 주고, 출마자에게 혼선을 준다"며 "바람직하지 않다"고 김 대표의 안심번호 강행 방침을 정면 반박했다.
김 대표는 전날 주요 당직자 오찬에서 일부 친박계를 겨냥, "공천기구에 들어간 사람들이 정해지지 않은 사항들을 정해진 것처럼 (언론에) 말하고 있다"며 불만을 토로한 바 있다. 김 대표가 지목한 문제의 친박계 공천특위 인사는 바로 김태흠 의원이다.
친박계 핵심 공천특위 위원 역시 뉴시스와 전화통화에서 "친박, 비박 할 것 없이 지난 공천특위 회의에서 안심번호에 대해서는 보조적 도구로만 사용한다는 사실상 활용 불가 입장으로 정리했는데 이제와서 이 문제를 다시 재론하기는 힘들다"고 밝혔다.
이 위원은 이어 "당 대표가 공천특위의 자율성을 인정한다면서도 이처럼 개인적인 사항을 특위에 강압하는 듯한 지시를 하는 것은 모순 아니냐"며 "그렇게 안심번호를 하고 싶으면 최고위 차원에서 알아서 결정하라"고 힐난했다.
비박계의 한 핵심 특위 위원도 통화에서 "특위 차원에서 결정한 일을 뒤집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특위에서도 안심번호를 공천 여론조사 방법 중 하나로 활용한다는 방침을 정했으니, 이 정도 선에서 합의하고 안심번호 논란을 끝내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앞선 이날 오전 당사에서 SKT, KT, LG유플러스 등 통신 3사 임원진 및 기술진, 선관위 법제과장 등을 불러 간담회를 가진 직후 기자들을 만나, '공천과정에서 안심번호를 활용할 수 있겠느냐'는 질문에 "가능하다"고 답했다.
김 대표는 "기술적으로 시간적으로 충분히 가능하다"며 "이통사에서 걱정하는 것은 이 문제 때문에 나중에 후보자들과 개별적으로 법적 시비에 걸리지 않고 싶다는 것인데, 그것을 선관위가 주관하는 것으로 바꿔주면 얼마든지 가능하다"고 안심번호 사용을 밀어붙일 것임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