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7일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제기된 핵무장론과 관련해 "중론에 부쳐서 결정할 문제"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북 핵실험 문제는 우리 민족의 생존권이 달린 중차대한 문제인만큼 국가적 비상사태라고 뜻을 같이했다"면서도 "그에 대한 대응책으로 여러 가지 강경한 주장과 발언, 신중한 대처 주장이 있었다"며 이같이 말했다.
당 최고위원들은 이날 회의에서 북한의 제4차 핵실험에 대한 규탄과 강력한 제재 조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과정에서 몇몇 최고위원들은 핵무장, 미국 전술핵 배치 등을 언급하기도 했다.
원유철 원내대표는 "북한이 4차 핵실험까지 마친 마당에 북핵 해법을 지금처럼 유지할 것인지, 전면적인 재검토를 할 시점이 왔다"며 "북한의 공포와 파멸의 핵에 맞서서 자위권 차원의 평화의 핵을 가질 때가 됐다"고 했다.
그러면서 원 원내대표는 "우리 안보는 누구도 대신 지켜줄 수 없다. 북핵은 우리가 주도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다. 북한이 계속 우리 머리에 핵무기 권총을 겨누는데, 언제까지 제재라는 칼만 갈고 있을 것인지 답답하다"고 덧붙였다.
김을동 최고위원 또한 "우리를 지키기 위한 핵 개발이 필요하다"고 거들었다.
김 최고위원은 "만약 핵개발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미국은 한반도 핵 안정보장을 위해 전술핵 재배치나 가시적인 확실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며 "우리가 전술핵을 가지고 있어야 한반도 비핵화도 가능하다. 우리 정부는 더이상 다른 나라 눈치 보지 말고 주권국으로써 전술핵 도입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김정훈 정책위의장은 핵무장의 필요성을 에둘러 강조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북한·중국·러시아는 핵 무장국이고 일본은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핵무장을 할 수 있다. 북한의 계속된 핵실험이 일본의 핵 무장 명분을 줄까 심히 우려된다"며 "우리만 핵 고립국화 되는 문제는 우리나라 안보에 심각한 위협이 된다"고 했다.
그는 이어 "평화는 대등한 힘을 보유할 때 오는 것이지 힘이 한쪽으로 기울면 평화 유지하기 힘들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