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친박 對 비박, '우선추천' 두고 전면전..
사회

친박 對 비박, '우선추천' 두고 전면전

운영자 기자 입력 2016/02/17 19:39 수정 2016.02.17 19:39

새누리당 친박계와 비박계가 17일 우선추천지역 도입 문제를 놓고 전면전에 돌입했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주장한 우선추천지역 도입은 특히 영남지역에서 현역의원들의 컷오프 가능성이 커지면서 비박과 친박계 의원들간 격렬한 대결국면이 조성되고 있는 것이다. 

 

김 대표는 이날 비공개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선거에 지는 한이 있더라도 절대 수용 안된다"며 이한구 공관위원장의 '우선추천지역 선정 방침' 거부 입장을 분명히했다. 그는 "이를 시정하든지 공관위를 해체하든지 하라"며 사실상 이 위원장의 사퇴까지 촉구했다. 

 

김 대표가 이처럼 격분한 이유는 우선추천지역이 사실상의 전략공천으로 변질 돼 자신의 정치 마지노선인 '상향식 공천' 원칙을 무너뜨린다는 데 있다. 

 

하지만 단순히 김 대표의 반발 여부를 떠나, '이한구식 우선추천지역' 방침에 현역의원들 상당수의 생사가 걸려있다는 점이 이번 논란의 본질이다.

 

이 위원장은 17개 시도별 한 권역별로 최소 1곳에서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을 지정한 뒤, 정치적 소수자나 신인을 해당 지역에 공천하겠다고 밝혔다.

 

이렇게 되면 이론상으로는 선거구 가운데 최소 17곳에서 최대 51곳까지 우선추천지역이 설정된다. 그렇다고 새누리당 현역의원 51명이 무더기 컷오프 된다는 얘기는 아니다.

 

17개 권역중에는 새누리당 현역이 단 1곳만 있는 호남이나 지역구 자체가 1석 밖에 없는 세종시의 경우 우선추천지역을 선정한다고 해도 현역의원의 컷오프 여부와는 상관이 없기 때문이다.

 

수도권에 있어서도 새누리당 현역이 버티고 있는 강남3구를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해 현역을 컷오프 시킬 수도 있지만, 종로와 같이 현역이 없는 지역구도 우선추천지역으로 선정해 현역들의 반발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있다.

 

이 위원장이 당원권 정지나 기소 등 명백한 부적격자가 있는 현역 지역구를 우선추천지역의 예로 든 것도 이같은 현역들의 반발을 고려한 것이다. 또 불출마 선언을 한 현역 지역구도 우선추천지역으로 최우선 검토될 것이라는 것이 당 핵심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텃밭' 영남은 경우가 다르다. 

 

영남에는 부산(18석), 경남(16석), 울산(6석), 대구(12석), 경북(15석) 등 5개 권역에서 총 67석이 있다

 

이중 새누리당은 62석을 차지하고 있다. 

 

새누리당 현역이 없는 영남 5곳은 더불어민주당 문재인(부산 사상) 전 대표 지역구, 같은 당 민홍철(경남 김해갑) 의원 지역구, 무소속 정의화 국회의장(부산 중동구) 지역구와 의원직을 상실한 조현룡(경남 의령함안합천) 전 의원 지역구와 자진사퇴한 심학봉(경북 구미갑) 전 의원 지역구 등이다.

 

이들 5곳을 제외하고 우선추천지역을 최대 15곳까지 선정한다면 영남 현역 62명 중 최대 15명이 잘려나간다는 얘기다. 컷오프 비율만 최대 24%에 달한다.

 

여기에다 경북이 인구감소에 따라 선거구획정 과정에서 2석이 줄어들면, 2명의 현역의원이 자연 도태된다는 것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컷오프 비율은 최대 25%까지 올라가게 된다. 

 

더불어민주당이 하위 20% 현역 탈락 방침을 밝혀 안철수 탈당 사태까지 낳은 점을 감안하면 그야말로 이한구안은 현역 의원들에게는 공포 그 자체인 셈이다. 

 

당 핵심관계자는 뉴시스와 통화에서 "우선추천지역은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기 위한 것으로 과거처럼 내려꽂기식 전략공천과는 다른 개념이라는 이한구 위원장과 친박계의 주장은 맞다"면서도 "그러나 현역 의원들 입장에서는 우선추천지역에 선정되면 여지없이 잘려나가게 된다는 그 자체가 공포로 다가온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