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최근 우리나라의 기능성 전통발효식품에 대한 관심이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도내 우수한 자원을 활용해 발효식품 국제 경쟁력 향상과 체계적인 육성을 위한 '경상북도 발효식품 산업화 기술'개발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전통발효식품은 우리나라 식문화의 근간으로 해외에서는 슬로우 푸드(Slow food)로 인식돼 소비가 확대됨은 물론이고 기능성 및 의료와 연계된 융복합 산업으로 지속적인 성장추세에 있다.
경상북도는 예로부터 안동식혜, 보리된장 등 발효식품이 발달되어 왔으며 종가음식을 중심으로 한 전통식품의 종류와 역사성에서 국내 최고로 평가받고 있지만 경북도내에서 운영되는 270여개 전통제조식품업체가 대부분 영세하고 소량 다품목으로 생산되고 있어 경쟁력 확보가 시급한 현실이다.
이에 도에서는 '경상북도 발효식품 산업화 기술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종가 및 향토 발효식품 상품화, 발효식품의 6차 산업화, 발효식품 수출 산업화, 기능성 발효소재 산업화의 4대 전략에 따라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발효식품을 적극 개발해 FTA시대에 중요한 수출품목으로 육성할 것이며, 발효식품은 다른 가공식품에 비해 원료농산물 비중이 높아 지역의 농산물의 중요한 소비처이므로 경상북도를 4개 권역으로 분류해 지역별 특산물을 활용한 '발효식품 F-1 벨트'를 구축하고 '전통발효식품 산업화지원센터'를 설치할 것”라고 전하며,
“4대 전략의 성공적인 추진을 통해 도내 전통 발효식품의 국내외 경쟁력을 확보하고 산업체와의 계약재배 등을 통하여 농가의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기술 개발의 현장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산학관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23개 시군과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한편, 대구·경북의 우수한 대학교수진으로 구성된 '전통발효식품산업육성 T/F팀'을 운영할 계획이다.
한편, 경상북도농업기술원에서는 지역 전통발효식품의 품질 및 농가소득 향상을 위해 현재까지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해오고 있으며 올해 농식품연구팀을 구성해 산업화를 위한 본격적인 기술개발에 나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