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파리를 홀린 옹녀가 서울로 돌아온다.
국립극장(극장장 안호상) 전속단체 국립창극단(예술감독 김성녀)이 5월 4~22일 서울 장충동 국립극장 달오름 무대에 인기 레퍼토리 '변강쇠 점 찍고 옹녀'를 펼친다.
고선웅 연출·한승석(중앙대 전통예술학부 교수) 작창의 이 작품은 창극 최초 '18금'을 표방한다. 2014년 초연과 지난해 재공연 당시 대중과 평단의 굳건한 지지를 받았다.
국내의 성원에 힘 입어 이달 14일부터 17일까지 현대 공연예술의 최전선으로 통하는 프랑스 파리의 테아트르 드 라 빌 대극장 무대에 올라 호평 받았다. 이 극장의 2015~2016 시즌 프로그램으로 공식 초청됐다.
에마뉘엘 드마르시 모타 테아트르 드 라빌 극장장은 "유서 깊은 프랑스 문학과 극 장르에서도 코믹함과 섹슈얼리티가 이렇게나 조화를 이루는 작품은 드물다. 또한 한국어의 발성이 갖는 고유성, 판소리만의 발성은 다양한 예술장르를 접하고자 하는 프랑스 관객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하다"고 말했다.
창극의 첫 프랑스 진출 무대를 지켜본 안호상 국립극장장은 "일본의 가부키, 중국의 경극이 있듯이 이제 우리의 창극이 아시아의 대표적인 음악극으로서 자리 잡을 발판이 마련됐다"며 밝혔다.
이번 서울 재공연은 주요 장면의 밀도를 높이고 무대미술을 보완하는 등 업그레이드된 프랑스 버전 그대로를 선보인다.
'변강쇠 점 찍고 옹녀'는 외설적이라는 이유로 지금은 더 이상 불리지 않는, 잃어버린 판소리 일곱 바탕 중 하나인 '변강쇠타령'을 생명력을 중심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고 연출은 마초 색골남 변강쇠에만 맞춰져 있던 시선에 '점'을 찍고, 박복하지만 당찬 여인 옹녀를 주인공으로 부각시켰다. 또 저마다의 사연을 지닌 전국 방방곡곡의 장승들이 해학적으로 그려진다. 옹녀 부부가 도방살이를 하면서 만나는 민초들의 이야기는 공감을 산다.
한 교수는 판소리·민요·가요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아우르며 관객의 어깨를 들썩이게 한다.
초연, 재공연과 마찬가지로 국립창극단 김지숙과 이소연이 옹녀, 김학용과 최호성이 변강쇠 역을 맡는다. 예술감독 김성녀, 의상디자인 이승무, 무대디자인 김충신. 만 18세 미만 관람불가. 러닝타임 120분(중간휴식 15분). 2~5만원. 02-2280-4114, www.ntok.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