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명량대첩로 수중발굴조사 착수..
사회

명량대첩로 수중발굴조사 착수

뉴시스 기자 입력 2016/04/28 16:40 수정 2016.04.28 16:40
 

 

충무공 탄신일인 4월28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전남 전도 명랑대첩로 해역에서 제4차 수중발굴조사에 착수한다.

문화재청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28일 명량대첩로 해역에서 수중발굴조사의 시작을 알리고 발굴단의 안전을 기원하는 개수제(開水祭)를 개최한다.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은 조류가 빠르게 흘러 배가 지나가기 힘든 험로이나, 예로부터 해상 지름길로 알려져 많은 선박이 오갔다. 특히 이곳은 임진왜란 중 전함 13척으로 일본 전함 130여 척을 무찌른 충무공 이순신 장군의 명량대첩(1597년)으로 유명한 울돌목에서 남동쪽으로 약 4km 떨어져 있어 관련 유물을 통해 역사의 흔적을 확인할 수 있는 장소이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는 2011년 이 해역에서 발견된 유물을 불법 매매하려던 도굴범이 검거된 것을 계기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긴급탐사와 세 차례의 수중발굴조사를 진행했다. 조사 결과, 조선 시대에 사용된 개인 화기인 소소승자총통(小小勝字銃筒) 3점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유물 650여 점을 발굴하는 성과를 거뒀다.
임진왜란에서 실제 사용됐던 것으로 추정되는 총통(銃筒)과 석환(石丸, 돌포탄) 등 전쟁유물들이 최초로 확인됐다. 그뿐만 아니라 원삼국 시대 토기, 중국의 닻돌, 송나라 시대 동전 등이 발굴돼 이 해역이 삼국 시대 초기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대외교류를 위한 해상통로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올해는 수중지층탐사기(SBP, Sub-Bottom Profiler)로 해저면 하부를 정밀 탐사해 이상체가 확인된 지점과 유물 집중매장처로 추정되는 곳을 조사할 예정으로, 오는 10월 28일까지 진행된다.

한편, 2014년까지 진행된 진도 명량대첩로 수중조사에서 발굴된 유물들은 지난 15일부터 오는 6월 19일까지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열리는 ‘명량鳴梁 해저유물 특별전’서 만나볼 수 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