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천년의 문화·예술에서 한국문화·예술이 남상(濫觴)했다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이 아니다. 신라문화·예술에 대한 부채(負債)의식이 없다면, 오늘날의 문화·예술도 지금처럼 화려한 꽃을 피우지 못했을 것이다. 신라천년의 문화·예술은 오늘까지 지속되고 있다. 오늘날의 문화·예술의 본고장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국제회의도시 중심 경주 하이코에서 지난 4일부터 8일까지 5일간 열린 전 세계 아티스트들의 걸작선 ‘아트경주 2016’ 행사가 예술세계의 파노라마 붐을 일으키며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올 해로 네 번째를 맞이하는 ‘아트경주 2016’은 지역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2012년 45개, 2013년 46개, 2015년 55개에 이어 올해는 서울 등 국내 48개와 일본, 미국 등 국외 9개 등 총 57개 갤러리가 참여했다. 61개 전시부스, 6개 기획전 부스 운영으로 국내·외 유명 작가 400여명의 2,500여점 작품을 전시했다. 엄선된 회화, 조각, 사진, 판화, 설치, 미디어 아트 등 국내·외 유명 작품이 다수 전시·판매되어, 그 어느 대회보다도 내실 있게 운영됐다.
특히 행사기간에 열린 토마스 라마디유(Thomas Lamadieu), 방준호, 리우 작가가 참여한 ‘천년의 하늘, 바람 그리고 꿈’ 이란 주제의 특별전은 수준 높은 작품이 관람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이 작품은 행사장 입구에 본래의 용도를 다하여 오래되고 낡은 폐고철이나 자동차 부속 등으로 구성되었다. 기계부속에 의한 비판적 시대상황, 물체의 고유한 특성과 기계적 현대성에의 미적 탐닉(耽溺)으로 뒤틀리고 메마른 인체를 표현한 영상 입체설치 작품이다. 이 작품을 다른 말로 표현한다면, 예술에 산업자본이 개입하면 인간성까지 마구 흔든다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 예술의 대중화와 잠재력이 있는 유명작품의 소개, 아트경주 활성화 등을 위해 기업 메세나(Mecenat)에서 총 375점에 8억4천만 원이 판매되었다. 2012년 3억 2천, 2013년 2억 3천, 2015년 4억 2천 등 지난해 대비 2배의 매출효과를 올렸다. 미술동호인들의 참여가 그 어느 때보다 많았다는 증거이다. 시민, 미술마니아(mania) 등 국내·외 관람객 수가 11,300여명에 이르렀다. 합리적인 미술시장과 건강한 미술문화 발전에 중심메카로 자리 잡았다. 이번의 문화·예술의 행사가 시민들의 문화·예술의 누림 수준을 한층 더 높였다. 치열한 경쟁에 쫓기던 일상생활의 지친 몸과 마음을 쉬게 했다. 치유도 했다. 경주시는 앞으로도 전 국민들의 문화향수에 보다 역점을 두고, 오는 해를 준비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