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근 김명수 정종섭 장관 내정자 정치권 이목 집중
여야가 박근혜정부 2기 내각 인사 내정자들에 대한 '인사청문회 시리즈'를 마무리한 결과 모두 9명 중 6명만이 관문을 통과했다.
이에 따라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한 김명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 등 나머지 3명의 거취에 정치권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한민구 국방부 장관은 9명 가운데 가장 먼저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 지난달 5일 인사청문요청안 제출 후 한 장관은 같은달 29일 국회 국방위원회에서 청문회를 치렀고 그날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됐다. 같은달 24일에는 나머지 8명의 인사청문요청안이 무더기로 국회에 제출됐다.
이에 따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 내정자,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내정자,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 내정자,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 내정자,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내정자는 지난 7~9일 잇따라 인사청문회에 출석해 검증을 받았고 그 결과 국회의 소관 상임위원회들로부터 인사청문절차 통과 통보를 받았다.
다만 김명수 교육부 장관 내정자, 정성근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내정자,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내정자는 청문회 종료 후에도 야당의 반대 속에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받아들지 못했다.
김명수 내정자는 논문표절 의혹, 정성근 내정자는 음주운전·아파트 전매제한 위반 위증·청문회 중 폭탄주 회식, 정종섭 내정자는 부동산 투기, 논문 자기표절, 탈세, 군 복무 특혜 등 의혹을 받고 있다.
물론 박 대통령은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라 국회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 채택 절차 없이도 장관 등 국무위원을 임명할 수 있지만 임명 강행 시 정치적 부담이 크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이미 국무총리 후보자 2인 낙마 등 인사참사로 곤욕을 치른데다가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부적격 의견이 나오는 상황이라 박 대통령이 이들 3명의 임명을 강행하기 쉽지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특히 지난 10일 새정치민주연합 원내지도부와 청와대 회담 과정에서 김명수·정성근 내정자 지명철회를 공식적으로 요구받은 점도 박 대통령의 고민거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