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앞 이틀째 농성
▲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세월호가족대책위가 세월호 특별법 제정과 관련한 TFT에 가족대책위를 포함하는 3자 협의체 구성과 조원진 새누리당 간사의 배제를 요구하는 연좌 농성을 하며 노란 종이배로‘2-7 4.16!’문구를 만들고 있다. © 운영자
세월호 참사 유가족들이 세월호 특별법 제정에 가족대책위가 참여하는‘여·야·가족 3자 협의체’를 요구하며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에서 이틀째 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세월호 사고 일반인 희생자 유가족 대책위원회와 세월호 사고 희생자/실종자/생존자 가족 대책위원회는 13일 오전 11시 국회 본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4·16 특별법’제정에‘여·야·가족 3자 협의체’구성을 요청했다.
이들은 전날 오후 4시께 세월호 특별법 제정을 위한 여야 회담에 참여해 3자 협의체 구성을 요구하고 새정치민주연합과 새누리당에게 이날 오후 9시까지 답변을 달라고 주문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 제안에 동의했다.
그러나 새누리당은 이를 거부하고 세월호 특별법 테스크포스(T/F) 협의에 참관하는 것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가족대책위는“오후 3시에 시작되는 여·야 세월호 특별법 T/F 회의에서도 우리 가족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을 경우 특단의 판단을 할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지난 9일 세월호 가족대책위, 대한변호사협회, 세월호 참사 국민대책회의는‘4·16 특별법’을 국회에 청원했다.
가족대책위는“4·16 특별법은 철저한 진실 규명과 안전한 사회 건설을 핵심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 제출된 정치권의 특별법안에는 이러한 내용이 제대로 반영돼 있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세월호 특별법이‘무늬만 특별법’으로 제정되는 것을 단호히 반대하고, 가족과 국민의 뜻을 충실히 반영한 특별법을 제정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며“특별법 제정 시까지 자리를 뜨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김병권 가족대책위원장은“오늘 우리는 대한민국이라는 바다 위의 국회라는 바지선에 서 있습니다”며“국회가 진정으로 성역 없는 철저한 진상조사와 안전사회 건설을 원한다면 모든 국민의 뜻을 받들어 특별법안을 받아들이고 이를 시급히 제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민주노총은 유가족들의 입장을 전폭적으로 지지하며 특별법 제정 투쟁에 앞장 설 뜻을 전달했다. 서울 최태식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