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가 지난 10일 국회의 인사청문 절차를 통과함에 따라 새 경제팀이 출범하게 됐다.
‘실세 부총리’로 평가되는 그가 이끌 경제팀은 무기력하다는 지적을 받은 전임 경제팀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줄 것이란 기대가 많다.
특히 성장론자인 최 후보자는 경제회생을 위한 정책들을 강력하게 추진할 것이란 예상이다.
청문회에서도“가능한 모든 정책수단을 동원해 경제의 역동성을 회복시키겠다”며 인위적 경기부양에 신중한 태도를 취해온 현오석 부총리와 사뭇 다른 태도다.
경제회복을 뒷받침할 수 있도록 민생분야를 중심으로 내수를 살리는 과감한 정책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활력을 잘 찾지 못하는 경제상황에 대한 걱정과 경제 활성화에 대한 그의 강한 의지가 잘 읽히는 대목이다.
가라앉는 경기를 되살리겠다는 데 반대할 사람은 없다.
최 후보자가 이끌 박근혜정부 2기 경제팀은 현 부총리의 1기 경제팀보다 강력한 리더십을 발휘해 경제를 활기차게 만들어주기를 많은 국민이 기대한다. 문제는 정책 내용과 그 실행 방법이다.
의욕만 넘치고 부작용에 눈을 감아 과유불급이 되면 안 된다.
과거와 달리 이제는 경제정책도 국회에서 관련 법안을 처리해주지 않으면 실행이 어려운 경우가 많다.
국민은 물론 야당과도 소통하면서 정책을 만들고 운용해야 한다.
최 후보자는 재정을 보다 확장적으로 운용하겠다고 했다.
추경 가능성도 열어놓았다.
그러나 추경은 국가 재정의 건전성을 악화시켜 후세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엄밀한 분석과 냉철한 판단이 필요하다.
최 후보자가 취임 후 열흘 이내에 내놓겠다고 한 종합대책은 각종 부작용에 대한 대응조치까지 갖춘 종합적이며 정교한 정책처방을 국민앞에 내놓아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경제를 살리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주길 바란다.
확실한 목표를 갖고 출발해야 좋은 결과가 나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