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승부로 끝난 지난 6·4 지방선거 이후 민심의 향배를 가늠하는 7·30 재보궐 선거의 후보 등록이 마감되고 대진표가 확정되었다.
여야가 입만 열면 외쳐오던 개혁공천은 온데 간데 없고 공천권을 당원들과 국민에게 돌려주겠다던 상향식 공천은 이번에도 어김없이 헛구호에 지나지 않았다.
공정한 후보 심사는 간 데 없고 당리당략과 제 사람 심기만 있었다.
주민 대표 뽑자는 선거에 주민 의사는 안중에도 없다.
그야말로 국민을 얼마나 졸(卒)로 보는지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다.
새누리당은 혁신위원회까지 만들었지만 지역연고가 없다는 이유로 평택 경선에서 아예 배제한 임태희 전 의원을 연고가 없긴 마찬가지인 수원 영통에 공천하고서도 유권자에겐 아무런 설명도 없다.
심지어 의혹투성이 인사를 후보군에 포함시켜 공천심사위원이 사퇴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새정치민주연합 역시 별반 다름없긴 마찬가지다.
동작을의‘기동민 전략공천’후폭풍이 만만치 않다.
‘최강 공천’을 공언했건만 전략공천에 반발해 무소속 출마를 준비하는 후보들이 벌써 줄을 섰다.
야당은 압도적인 승리가 가능했던 지난 지방선거에서도 수권정당으로서의 신뢰를 보여주지 못함으로써 여당과 무승부를 기록했다.
정당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가 공직 후보의 추천을 통한 충원 기능이다.
따라서 투명하고도 원칙있는 공천은 정당정치의 출발이자 핵심이다. 그러나 이번 선거 공천 과정에서 보여준 여야의 행태는 국민을 무시하는 구태정치의 전형이었다.
개혁도 없고 혁신도 없고 국민도 안중에 없는 공천이었을 뿐이다.
이런 후진적 공천은 정당정치의 후퇴며 민주주의의 후퇴로 연결된다. 여야 정당은 크게 반성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