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업무보고를 위해 28일 열린 국회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야당 의원들은 '국정교과서' 문제에 대해 집중 공격했다. 박경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박근혜 대통령이 추진하는 국정 역사교과서 구색을 맞추기 위해 다른 과목까지 국정화로 끌어들였다"며 "덕분에 국정교과서 개발 순서도 엉망"이라고 비판했다.
박 의원은 "초등 국어, 수학 과목의 집필 기간은 4개월, 검토 기간은 10개월인데 중등 역사교과서 집필 기간은 11개월, 검토 기간은 사실상 1개월"이라며 "검토 기간이 너무 짧은 것 아니냐"고 지적했다. 그는 "부실해질 가능성이 높은데, 미래를 책임질 아이들이 아니라 청와대만 바라보는 교육부를 용납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같은 당 김병욱 의원도 "새 교과서 적용이 내년 3월인데 이렇게 서두르는 이유가 뭐냐"며 "졸속 제작하면 안 된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누가 교과서를 집필하는지, 편찬 기준은 뭔지 밝혀진 게 없다"며 "내년 3월에 교과서가 나오고 올해 11월에 시험본이 나오는데, 국민들에게 공개를 안 하는 이유가 뭐냐"고 따졌다.
그러면서 그는 "지난해 역사교과서 관련 예산을 보니 24억~25억원 정도 광고비를 집행했다"며 "과다하게 여론전을 하는 것 아니냐"고 반문하기도 했다.
노웅래 의원 역시 "국정교과서가 지금 최대 현안인데 오늘 업무보고에서 빠졌다가 나중에 슬쩍 끼워 넣었다"며 "현안 중의 현안이 국정교과서 인데 감추기 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노 의원은 "용어도 '역사교육 정상화'라는 말을 사용했는데, 그러면 지금 역사교육이 비정상이라는 얘기냐"며 "만약 정상이 아니라면 지금 장관부터 책임을 져야 하는 것 아니냐"고 공격했다.
이에 대해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역사 교과서는 초등 국정교과서보다는 신중한 집필을 위해 집필 기간이 더 긴 것"이라며 "검토 기간도 사실상 2개월"이라고 해명했다. 이 부총리는 "집필자, 편찬 기준 공개 원칙은 변함이 없다"며 "집필하는 분들의 안정적 집필 환경 조성을 위해 비공개한 것이고 시기를 따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부총리는 이어 "집필자가 공개되면 과거 사례도 있고, 신상에 대한 어려운 점이 있을 수 있다"며 "최종 검토본이 나온 뒤 공개하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