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이 29일 국회 정무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이른바 '서별관회의'를 두고 집중 공세를 퍼부었다.
두 야당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 회의에서 대우조선해양 혈세 투입 과정에 박근혜 정부 실세들이 개입했다는 홍기택 전 산업은행장의 '자폭 발언'과 관련해 임종룡 금융위원장을 상대로 집중 질의했다.
민병두 더민주 의원은 "현재 언론은 '구조조정의 적'이라며 첫번째로 서별관회의를 꼽고, 두번째로 금융당국, 셋째로 평가기관과 감사기관을 꼽고 있다"며 "도대체 이 지경까지 온 원인이 무엇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민 의원은 이어 "대우조선해양은 감사원 감사를 받았고, 검찰 조사도 받고 있다. 산업은행은 자체적인 개혁안을 발표하고 대국민 사과도 했다"며 "금융당국은 그 책임을 어떻게 인정하고 표현할 것이냐"고 몰아세웠다.
그는 그러면서 "서별관회의가 무엇을 논의했고, 책임 소재가 어디인지를 알아야 합리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며 "지금이라도 3당 정무위 간사는 서별관회의 청문회를 합의하고 합의가 안되면 뜻이 있는 의원들끼리라도 구조조정 관련 국정조사 요구서를 발의하는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고 경고했다.
정무위 국민의당 간사인 김관영 의원도 "서별관회의가 최종 의사결정 기구가 되서는 안된다. 비공식 기구인 만큼 충분한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공식기구에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김종석 새누리당 의원은 "대우조선해양에 4조2,000억원을 지원한다는 것은 산업은행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 관계기관 간에 밀접한 협조가 있어야 하는 사안"이라며 "그럼 관계기관이 모여 정책협의를 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반박했다.
김 의원은 "장소가 어디든 이같은 기능이 없다는 것이 더 문제 아니냐"며 "비밀회의나 음모가 아니다. 정부의 당연한 의사결정 과정"이라고 야당의 공세를 차단하는 데 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