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자·마스터의 횡포 사라질 전망
매년 1000억원 수수료 감소할 듯
주요 카드사가 국내 사용액에 대해서는 수수료를 부담하지 않는 국내외겸용카드를 잇따라 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매년 비자(VISA)나 마스터(MASTER) 등 해외 브랜드에 지급되던 국내 사용액 관련 수수료 부담이 없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금액은 약 1000억원 규모에 달한다.
15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는 지난 9일 아메리칸익스프레스(아멕스)와 제휴해 국내 이용분에 대한 수수료가 없고, 전세계 아멕스 가맹점에서 결제가 가능한 국내외겸용카드 브랜드 'S&(에스앤)'을 출시했다.
이 브랜드로 카드를 발급받을 경우, 동일한 연회비로 해외에서도 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비자 등 다른 브랜드의 카드는 '국내전용'과 '국내외겸용' 카드의 연회비를 달리 적용하고 있다.
KB국민카드 역시 지난 14일 JCB인터내셔널과의 제휴를 통해 국내 사용분에 대해 수수료를 지불하지 않는 'K-World(케이월드)' 브랜드를 출시했다.
이 브랜드도 국내전용카드 수준의 연회비로 JCB가 보유한 190개국 2600만여 가맹점과 ATM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들 카드사가 비자와 마스터 등 해외브랜드가 아닌 새로운 브랜드를 개발하는 것은 국내 사용액에 대한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현재 국내 카드사들은 대부분 비자나 마스터 브랜드의 국내외겸용카드를 발급하고 있다.
문제는 이들 해외카드 브랜드는 브랜드 사용료와 자사 결제망 사용료를 포함한 사용분담금 명목으로 국내 결제금액에 대해 0.04% 가량의 수수료을 받고 있다는 점이다.
비자 등 카드사에 넘어가는 국내 이용액에 대한 수수료는 ▲2011년 1109억원 ▲2012년 1062억원 ▲2013년 1330억원(잠정) 등으로 매년 1000억원을 넘어서고 있다. 이는 이들 카드사에 지급되는 전체 수수료의 90% 가량을 차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