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오는 8일 새누리당 의원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하기로 한 데 이어 다음달 중 국회의장단 및 상임위원장들과의 오찬도 추진키로 한 것은 소통과 협치를 키워드로 집권 후반기 국정동력을 확보하려는 노력으로 풀이된다.
20대 국회와의 상견례 의미가 있는 일련의 '식사정치'를 통해 당청 결속도를 높이는 한편, 19대에서는 압박 일변도였던 대(對)국회 관계를 협력의 관계로 재설정함으로써 여소야대 정국의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의도란 얘기다.
5일 청와대와 새누리당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8일 새누리당 129명 의원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함께 한다. 박 대통령이 새누리당 의원 전원을 청와대로 초청해 오찬을 갖는 것은 19대 국회 시절인 지난해 8월26일 오찬 이후 11개월 만이다.
당시 오찬은 5년 임기의 반환점을 도는 시점에 당청이 하나가 돼 4대 구조개혁과 경제활성화 등 핵심 국정과제 완수를 다짐하는 의미가 있었다. 이번 오찬은 20대 국회의 출발선에서 다시금 국정성과 창출을 위해 당과 청와대가 화합하자는 자리를 마련한 것이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일하는 20대 국회를 만들기 위한 결의와 국정전반에 걸친 의견들이 개진될 것"이라며 "박 대통령은 혁신으로 새출발하는 여당 의원들의 의견을 경청하고 국정협력을 당부하는 등 진지하고도 화합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맥락에서 박 대통령은 브렉시트(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와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따른 경제와 안보의 '이중위기'를 언급한 뒤 청와대와 당이 한 몸이 돼 정책공조를 펼쳐 나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성공적인 기업·산업 구조조정과 일자리 대책에 초점을 맞춘 추가경정예산안 처리, 노동개혁을 비롯한 4대 개혁 완수 등에 있어 당의 적극적인 협조와 뒷받침도 당부할 전망이다.
이번 오찬은 새누리당이 4·13 총선 참패 직후 책임론 공방과 혁식위원회 출범 무산, 유승민 의원의 복당 등을 놓고 극심한 내홍을 겪었던 만큼 '집안 단속' 차원에서 향후 같은 선례를 되풀이하지 말자는 다짐을 얻어내는 자리로도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