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동립 잡기노트
옆으로 누워야 잠이 잘 온다는 사람, 베개를 안아야 쉽게 잠든다는 사람, 수면 습관은 제 각각이다.
하지만 특정 자세나 잠버릇은 질환에 대한 신체반응이거나 수면장애 증상일 수 있다. 낮잠을 자다가 팔이나 다리를 움찔하면서 깬 적은 다들 있다.
‘수면 놀람(sleep start)’현상이다. 잠이 들려다 깜짝 놀라 깬다는 의미다. 대부분 팔이나 다리를 움찔하지만 몸 전체를 움찔하는 경우도 있고, 소리를 지르면서 깨기도 한다. 이때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이 빨라짐을 느끼기도 한다.
수면 놀라움은 잠이 들려고 하는 상태에서 갑자기 각성 상태가 침투해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이다.
잠들 무렵 꿈을 꾸면서 깨기도 하므로 꿈을 꾸는 REM 수면이 불완전하게 형성돼 나타난다. 수면 놀람은 정상인에게 흔하다. 수면장애가 아니므로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잠에서 깬 후 갑자기 심장이 빨리 뛰고 호흡이 빨라지니 심장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이들도 있다.
잠을 잘 때는 깨어 있을 때보다 심장 박동이나 호흡이 느리다.
갑자기 잠에서 깨게 되면 각성 상태의 수준으로 맞추기 위해 심장 박동과 호흡이 빨라지는 것은 당연하다.
수면과 각성은 정교하게 맞물려 조절되지만 가끔 톱니바퀴가 어긋나기도 한다.
을지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정성훈 교수는“수면 놀라움은 전날 충분히 자지 못했거나 스트레스와 피로가 심할 때 잘 나타나기 때문에 당황하고 놀라기보다는 지친 몸이 쉬라고 보내는 신호로 이해하면 된다”고 조언한다.
자기 전에 다리를 주물러 달라고 하거나 스스로 다리를 주무르는 남녀도 있다.
일어나서 걸을 때는 불편을 느끼지 않는다.‘하지 불안증후군’이다.
정 교수는“보통 저녁 시간에 심해지는 하지불안증후군은 종아리 근육 사이로 뭔가 지나가는 듯한 느낌과 표현하기 힘들 정도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질환으로 주물러주거나 근육을 움직이면 바로 좋아지는 것이 특징”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