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출범한 국민의당 비대위가 첫 회의에서 안철수·천정배 전 공동대표 사퇴 직후부터 불거져온 당내 조기전대론에 공감하고 가급적 전당대회 시기를 앞당기기로 의견을 모았다.
손금주 국민의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에서 브리핑을 열고 "비대위에서 전당대회를 앞당기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박지원 비대위원장 역시 "최대한 빨리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비대위 체제가 오래 가면 안 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고 손 대변인은 전했다.
국민의당은 당초 내년 1~2월께 전당대회를 치를 예정이었지만, '김수민 사태' 책임을 지고 안철수·천정배 전 공동대표가 사퇴하면서 조기전대론이 부상했다.
아울러 비대위원장-원내대표 겸직 체제로 사실상 박 위원장이 당내 전권을 쥐게 되자 일각에서 '분리론' 등 견제 목소리가 불거졌고, 이 역시 조기전대론에 힘을 실었다.
박 위원장은 이와 관련, 지난 6일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조기전대론은) 결론이 안 난 문제다, 내일이라도 당장 하면 좋지만 골격이 갖춰지지 않았다"고 유보적 입장을 나타낸 바 있다.
박 위원장은 그러나 원내대표-비대위원장 분리론과 조기전대론이 잦아들지 않자 당 공식 지도부를 신속히 꾸려 겸직 상태를 해소하겠다는 쪽으로 생각을 정리한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은 같은 취지에서 박주선 국회부의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당헌당규재개정위원회 구성안을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인준했다.
손 대변인은 "재개정위는 비대위와 독립적으로 운영된다"며 "인사권과 당헌당규는 필요한 경우 보고만 하고, 절차적 독립성을 인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재개정위는 소위를 구성해 현역 의원들을 배치, 오는 8월까지는 당비 납부 시스템 마련 등 전당대회 준비에 필요한 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다.
재개정위는 아울러 차기 당대표를 뽑을 '전당대회 룰' 구성도 전담한다. 이와 관련 박지원 비대위원장은 지난 6일 재개정위 역할을 언급하며 "전당대회 룰을 박지원이 만들 것이라는 우려는 불식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손 대변인은 "전당대회 시기가 늦어지는 이유는 '늦추자'는 의견이 있어서가 아니라 시스템 마련을 위해 필요한 당헌당규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라며 "당헌당규가 빨리 정비되면 전당대회 시기도 당겨질 것이고, 시기를 앞당기자는 데 비대위 의견이 모아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