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점검·근로감독 필요성 제기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또 다시 안전사고가 터졌다.
이달 들어 벌써 2건의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잇따르고 있지만 사건사고를 은폐 및 축소하고 있다는 비난까지 제기되고 있다.
지난 14일 낮 12시경 포스코 근로자 김 모(52)씨가 포항제철소 내에서 A모 회사의 15톤 덤프트럭에 치여 숨지는 사망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김 씨는 점심식사를 위해 자전거로 이동 중이었는데 좌회전을 하는 덤프트럭이 김 씨를 보지 못해 사고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앞서 포항제철소는 대대적인‘혹서기 안전점검 강화 등 자율적 안전사고 근절 결의대회’를 가진 다음날인 지난 1일, 근로자 3명이 이산화탄소에 질식해 병원으로 긴급 이송되는 안전사고가 발생했고 광양제철소 후판공장에서는 폭발사고가 발생해 근로자 3명이 화상을 입고 인근 병원으로 후송됐다.
같은 날 오전 7시20분경에는 포항 4세대 방사광가속기 건설현장에서 근로자 1명이 추락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등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다.
지난 5월에도 포항제철소 2고로에서 가스배관 밸브교체작업을 하던 중 가스가 누출되면서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해 포스코건설 하청업체 근로자 이모(53)씨 등 5명이 다쳤으며 같은 달 7일에도 포항제철소 3고로 쇳물 유출로 화재가 발생했다.
인근 송도동 주민 장모(56)씨는 “지난해부터 포항제철소에서 폭발사고에다 안전사고가 연이어 발생하는 것 같다”며“포스코의 안전의식이 너무 관료화돼 있는 것 아니냐”며 국가기간시설에 걸 맞는 안전관리대책이 수립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철강업계의 한 관계자는 “포스코 포항제철소는 국가기간시설이라는 명분으로 공기관의 안전점검 및 근로감독에서 벗어나 있다”며 “근로자들의 안전을 위해 감추려 하지 말고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적 테두리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신윤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