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계 맏형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이 19일 당 대표 경선 불출마를 전격 선언했다. 그간 당 대표 출마 문제로 고심하던 서 의원은 '윤상현 녹취록'이 터지자, 결국 출마를 완전히 접을 수밖에 없게 됐다는 분석이다.
윤 의원이 김성회 전 의원에게 겁박까지 해가며 지역구 변경을 종용한 까닭이 서 의원의 순조로운 공천을 돕기 위한 목적이었기 때문이다.
물론 서 의원측은 "순전히 윤상현 의원 개인의 '오버' 행위로 서 의원과는 전혀 무관한 일"이라고 억울함을 호소했지만, 친박계 좌장인 최경환 의원까지 김성회 전 의원 회유에 나선 정황이 드러나자, 친박계 수뇌부가 서 의원 공천을 돕기위해 조직적으로 나선 것이라는 의심은 더욱 짙어졌다.
더욱이 윤 의원은 문제의 녹취록에서 "경선하라고 해도 우리가 다 만들지. 친박 브랜드로 '친박이다. 대통령 사람이다.' 서청원 최경환 현기환 의원 막 완전 (친박) 핵심들 아냐"라며 서 의원을 포함한 친박계 핵심 인사들의 이름을 열거했다.
친박계 수뇌부가 공천 과정에서 조직적으로 의견을 교환하고 기획한 정황을 의심할만한 대목이다.
핵심 당직자는 뉴시스와 전화통화에서 "어차피 서 의원이 출마할 수 없는 상황이 됐다"며 "비박계는 겉으로는 최경환, 윤상현 의원의 공천 개입을 성토하고 있지만, '리얼 타깃'은 서청원 의원이었다. 서 의원이 전대에 출마할 경우 '불공정 공천' 시비로 판을 엎을 생각이었다"고 말했다.
실제로 정병국 의원은 "공천 과정에 추악하게 관여한 핵심 친박들은 지금이라도 국민들께 사죄를 드려야 한다"면서 "특히 윤 의원의 협박, 회유 혜택을 입은 인사는 백의종군 할 것을 촉구한다"고 서 의원을 정조준했다.
하지만 '윤상현 녹취록'이 등장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서 의원이 당 대표에 출마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