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운영자
20대 국회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미방위)가 미래창조과학부 등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국정감사에서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 창조경제혁신센터, 원자력발전소 안전 문제 등이 집중 논의될 전망이다.
다만 오는 26일부터 예정된 20대 국회 첫 국정감사는 현재 새누리당이 국회일정 보이콧을 선언하면서 일정진행이 다소 불투명해진 상황이다. 미방위는 26일 미래부, 27일 방송통신위원회, 29일 원자력안전위원회(관련 기관 포함) 국감을 진행할 예정이다.
25일 국회 등에 따르면 이번 국감에서는 통신분야의 경우 다음달 시행 2주년을 맞는 단말기유통구조개선법(단통법)이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단통법은 다음달 시행 2주년을 맞지만 '가계통신비 절감'과 '유통구조 개선'이라는 입법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이동통신사(이통사)들의 수익만 늘려줬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야당은 분리공시제 도입, 지원금 상한제 일몰기간 단축, 선택약정할인 할인율 확대 등을 골자로 한 단통법 개정안을 다수 발의한 상태다. 하지만 미래부와 방통위 모두 단통법 도입 이후 소비자 차별이 해소되고 가계 통신비가 인하됐다는 입장이어서 설전이 예상된다.
여야는 윤원영 SK텔레콤 부문장과 김현철 롯데하이마트 상품본부장, 배효주 전국이동통신유통협회 부회장을 방통위 국감 증인과 참고인으로 불러 단통법 위반과, 골목상권 살리기 방안 등을 캐묻는다.
단통법 이후 불거진 휴대전화 다단계 판매와 관련해서도 이통3사 중 다단계 판매 비율이 가장 높은 LG유플러스의 황현식 부문장과 LG유플러스 다단계 대리점인 IFCI 이용기 대표 등을 증인으로 불러 다단계 판매의 부적절성을 집중 질의한다. 김한성 다단계피해모임 대표, 서영진 서울YMCA 간사는 이날 참고인으로 나와 피해 현황 등을 진술할 예정이다.
ICT 분야에서는 공간정보 국외 반출을 비롯해 모바일 플랫폼(안드로이드, 구글스토어) 지배력 남용, 국내 사업자 역차별, 세금회피, 이용자 보호 등 구글을 둘러싼 각종 논란이 집중 신문된다. 여야는 임재현 구글코리아 정책총괄을 미래부 국감 증인으로 채택했다.
특히 정부가 공간정보 국외 반출 승인 여부를 11월 결정할 예정인 가운데 구글이 기존 입장을 바꿔 안보상 민감정보 수정 등 정부 요구에 전향적인 입장을 내놓을지 관심이 모아진다. 김인현 한국공간정보통신 대표는 참고인으로 나와 구글의 논리를 반박한다.
창조경제혁신센터(혁신센터)의 실효성을 둘러싼 여야 공방도 거셀 전망이다. 혁신센터는 국민의당 안철수 전 상임 공동대표가 지난 3일 '국가 공인 동물원'이라고 비판하면서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여야는 김선일 대구혁신터장과 박용호 서울혁신센터장을 미래부 국감 참고인으로 불러 업무현황과 실적 등에 대해 집중 질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