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3,000만원의 불법정치자금을 받은 혐의로 1심에서 집행유예가 선고됐던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음에 따라 그의 정치적 재기 가능성이 주목된다.
충남 청양이 고향인 이 전 총리는 '성완종 리스트' 사건 전 까지 새누리당 원내대표를 거쳐, 박근혜 정부의 국무총리에 오르며 '충청대망론'의 유력주자 중 한 사람으로 거론됐다.
그는 총리 취임 직후 부정부패와의 전면전을 선포하며 공직기강 다잡기에 나서는 등 의욕적인 행보를 보였다. 하지만 '성완종 리스트' 사건에 연루되며 재임 63일만에 사퇴해야 했다.
그러나 이 전 총리는 1심에서 징역 8개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것을 뒤집고 이날 항소심에서 무죄 선고를 받았다. 향후 대법원에서도 무죄 판결을 받을 경우 정치적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 전 총리의 경우 박근혜 대통령의 두터운 신임을 받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 김종필 전 국무총리와 자민련에서 같이 의정활동을 한 경력이 있어 여권에서 일찌감치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의 대안으로 거론됐다. 실제로 친박계 내부에서도 "검증이 안 된 반 총장이 낙마할 경우 대안은 이완구"라는 말이 나오기도 했었다.
이와관련 이 전 총리는 이날 판결 직후 기자들과 만나 '향후 정치활동 계획'을 묻는 질문에 "그런 말씀은 언급하지 않는게 예의인 것 같다. 국민에 대한 도리다. 아직 그런 문제 생각해본 적 없다"고 여지를 남겼다.
그는 그러면서 "이제는 공직이 됐든 아니면 정치권이 됐든 다 좀 깨끗한 그리고 정직이 통하는 그런 사회를 만들 수 있도록 다 노력하고 저 자신도 노력하겠다"며 정치적 욕심을 숨기지 않았다.
이에 정치권에서는 항소심 판결이 대법원에서도 동일하게 이어질 경우 내년 대선을 앞두고 현재 당내 뚜렷한 주자가 없는 여권에 또 다른 잠룡이 탄생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