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손기정 국적도 한국으로 못바꾸는 국회..
정치

손기정 국적도 한국으로 못바꾸는 국회

운영자 기자 입력 2016/10/09 14:26 수정 2016.10.09 14:26
해당 결의안 교문위 계류 중
▲     © 운영자


 
 국제올림픽위원회가 고(故) 손기정 선수의 이름을 일본식인 '키테이 손'으로 표기하고 있는 가운데 이를 한글로 바꾸도록 촉구하는 내용의 결의안이 발의됐지만 한글날인 9일까지 해당 상임위인 교문위에서 한달 이상 계류 중이다.
 앞서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 등 여야 의원 46명은 8월24일 '국제 올림픽 조직 위원회에 대한 고(故) 손기정 선수의 대한민국 국적 및 한글 이름 표기 촉구를 위한 결의안'을 발의했다.
 결의안에는 "대한민국 국회는 국제 올림픽 조직 위원회가 손기정 선수의 국적과 이름을 'Japan, Kitei Son'에서 'Korea, 손기정'으로 바로 잡는 것이야말로 올바른 역사기록이라고 확신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어 "대한민국 국회는 국제 올림픽 조직 위원회에 대해 대한민국 국민과 국회가 바라는 손기정 선수의 대한민국 국적 및 한글 이름 표기를 받아들여 줄 것을 적극 촉구하며 대한민국 정부도 이를 위해 보다 능동적으로 나서줄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김 의원 등은 결의안을 발의하면서 "대한민국 국회는 2016년 8월9일 대한민국 마라토너 손기정 선수의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대회 우승 80주년을 맞이함에 부쳐 여전히 그의 국적을 일본으로, 이름을 일본식으로 표기하고 있는 국제 올림픽 조직위원회가 이를 객관적 사실에 따라 국적을 한국으로, 이름을 손기정으로 바로 잡아 줄 것을 촉구한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 결의안은 발의 다음날인 8월25일 교문위로 넘겨졌지만 아직 심의되지 않고 있다. 결의안이 통과돼 국회와 정부가 한목소리를 내도 국제올림픽위원회가 이를 받아들일지를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인데 유독 여야간 갈등이 심한 상임위인 교문위는 이를 심의할 여유도, 의지도 없어보인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지적이다.
 특히 교문위는 새누리당의 국감 보이콧에 이어 미르·K스포츠재단 관련 증인 채택 문제를 둘러싼 여야간 충돌로 국정감사마저 차질을 빚고 있는 상임위다.
 이같은 상황에 대해 결의안 대표 발의자인 김 의원은 뉴시스와 통화에서 "손기정 선수는 일제 침략기에 나라를 잃어버린 상황에서 비록 일장기를 가슴에 달긴 했지만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에서 자랑스러운 금메달을 땄다. 민족의 자긍심과 민족혼을 일깨우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고 결의안 발의 배경을 설명했다.
 김 의원은 그러면서 "세계 10위권 경제대국이 됐는데 아직 국제올림픽위원회에서 국적이 대한민국이 아니라 일본으로 기록돼있다"며 "한글날을 맞아 손기정 선수에 관한 국회 결의가 조속히 이뤄지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