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상정 정의당 대표는 16일 미르·K스포츠 재단 의혹의 중심에 선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에 대한 해산촉구 결의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심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내일(17일) 73명의 의원들과 전경련 해산촉구 결의안을 발의한다"며 "전경련은 최소한의 자정능력도 상실해 조속한 해체만이 답"이라고 밝혔다.
심 대표가 발의한 결의안에는 "전경련은 더이상 미르-K스포츠재단의 향후 진로에 관여할 것이 아니라 모든 탈선을 국민 앞에 밝히고 사법당국의 수사에 협조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조속히 자진해서 해산절차를 밟아 나갈 것을 촉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심 대표는 "민간경제단체에 대해 국회가 해산이라는 극약처방을 주문하는 것은 일반적은 일은 아니지만, 전경련 해체는 이념을 초월한 '사회적 합의'가 됐다"고 발의 이유를 설명했다. 이어 "이제 (전경련) 회원사들도 거액의 회비를 내는 이유를 납득하지 못하고 있다"며 "부적절한 정치개입과 권력을 등에 업은 전경련의 마름질에 넌더리를 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기업의 대표 단체로는 이미 법적단체인 대한상의가 있다. 대한상의가 전경련의 역할을 중심으로 받아안아야 한다"며 "앞으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두 야당과 함께 공공기관의 전경련 즉각 탈퇴, 검찰의 미르·K스포츠재단 엄정수사, 산자부의 허가취소 등을 강력히 촉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국감이 끝나면) 전경련의 예산 절반을 책임지고 있는 삼성, 현대, SK, LG 등 주요 대기업을 직접 찾아가 만나 자진해산과 탈퇴를 촉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73명의 공동발의자 중에는 새누리당 의원 중 유일하게 비박계 김용태 의원이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끌었다. 이밖에 더불어민주당 소속 55명, 국민의당 소속 9명, 무소속 2명 등의 의원들이 공동발의에 참여했다.
심 대표는 이에 대해 "새누리당 의원 가운데 상당수가 발의에는 참여 않더라도, 본회의 상정시 찬성 표결을 하겠다고 했다"며 "김 의원은 자발적으로 도장을 찍어서 보내줬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