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전 새누리당 대표가 23일 대선 불출마 선언과 함께 헌법개정 추진이란 승부수를 던졌지만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등 야당이 개헌에 부정적인 입장이라 성사 여부가 불투명해 보인다.
김 전 대표는 이날 기자회견에서 "이번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를 끝으로 다시는 국민들에게 이런 괴로움을 끼치지 말아야 한다"며 "그 문제의 해결은 개헌이라 생각한다. 개헌도 동시에 추진하려고 한다"고 개헌 추진 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개헌을 위해 김 전 대표가 반드시 포섭해야 하는 민주당과 국민의당은 개헌에 부정적인 입장이다.
민주당 관계자는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현재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과 하야, 탄핵에 집중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개헌은 이와 다른 방향이라서 현재 문제를 우회하는 것이 될 수 있다. 블랙홀이 될 수 있다"고 당 지도부 차원에서 개헌 문제를 논의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문재인 전 대표도 21일 경북대에서 "나는 지금은 개헌을 말할 시기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지금 이 시기에 개헌을 이야기하는 것은 뭔가 순수하지 못한 정치적 의도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고 개헌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한 바 있어서 민주당 내 개헌 논의가 적극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국민의당 관계자도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지금 개헌 추진은 우려스럽다"며 "야3당과 국민이 모두 합쳐도 새누리당 내 비박을 끌어낼 수 있을지 모르는 상황인데 개헌으로 논점이 흐려지면 안 된다. 개헌이 추진되면 대통령 중임제 등으로 논란이 커질 수 있다"고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박지원 국민의당 비대위원장도 전날 원내대책회의에서 "정치권에서 논의되고 있는 개헌도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와 추미애 대표가 회의적 시각을 갖고 있고 그렇게 적극적으로 추진하던 정세균 국회의장도 '지금 현재 국민들이 개헌논의를 받아들이겠냐'며 회의적인 말씀을 하고 계신다"며 "결국 물리적으로 개헌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이처럼 김 전 대표의 개헌 승부수가 당장 성사되지는 않을 공산이 크지만 개헌 논의가 야권의 분열 내지 정계 재편을 촉발시킬 수는 있어 보인다.
민주당 내 비주류의 대표 격인 김종인 전 비대위 대표가 개헌에 적극 찬성하고 있고 제3지대에 있는 손학규 전 경기지사,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도 개헌론자라는 점에서 김 전 대표의 개헌 주장이 정계 개편의 도화선이 될 가능성은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