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김진선 2018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장이 지난 21일 전격 사퇴했다. 임기 1년3개월을 남겨 둔 그가 갑작스럽게 그만두자 이런저런 뒷말이 나오고 국민은 평창올림픽 준비 상황을 불안한 시선으로 보고 있다.
김 전위원장은 3수 끝에 성공한 평창올림픽 유치의 산파로 통한다. 김 전위원장은 지난 2011년 7월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평창이 2018년 동계올림픽 개최도시로 선정되는 데 결정적으로 기여했다.
김진선 전위원장은“동계올림픽 준비는 전반기를 지나서 후반기로 접어든 반환점에 와 있다. 일은 점점 더 많아지고 보다 세밀한 실행력이 요구되는 이른바 전환기적 상황이라고 본다. 이 엄중한 시기에 무언가 새로운 리더십과 보강된 시스템에 의해 조직위원회가 앞으로의 과제에 대처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쭉 해왔다”며“이것이 지금 위원장직에서 물러나는 이유”라고 말했다.
2011년 평창동계올림픽을 유치하고 3년이 흐른 지금“이대론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올 정도로 준비는 지지부진하다.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는 개ㆍ폐회식과 선수단 숙박 등 올림픽 운영경비로 예산 2조1000억여 원을 편성했으나 실제로는 3조원가량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예산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중계ㆍ광고료 배분 금액과 기업 후원금으로 충당해야 하는데 기업 후원이 예상에 크게 미달하고 있다. 평창올림픽조직위가 당초 책정한 목표액중 30% 정도에 그치는 후원금만 거두고 있을 뿐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담당하는 도로·철도·경기장 건설 진행이나 예산확보도 기대에 못 미친다는 평가다. 3회 도전 끝에 유치한 평창동계올림픽도 88 서울올림픽이나 2002 한ㆍ일 월드컵처럼 국가 브랜드를 드높일 범국가적 행사로 기대를 모았다.
그럼에도 평창동계올림픽 흥행이 이처럼 부진한 데는 세월호 참사 영향도 있지만‘강원도올림픽’으로 폄훼될 만큼 중앙정부 관심이 적었던 탓도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상황이 국민의 걱정해야 할 지경에 이르렀다면 유능한 인물을 발탁하여 준비하지 못한 현 정부의 책임이 막중하다.
새 조직위원장은 두말할 필요 없이 강원도와 개최지 자치단체, 조직위원회와 정부 등 관련 주체들의 역학관계를 잘 아는 인사여야 한다. 이들 주체가 손발이 잘 맞지 않으면 어렵게 유치한 국가대사를 그르치게 된다. 지금부터는 전반적인 준비 일정에 차질이 생겨서는 곤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