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은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계림문화재연구원이 발굴조사하고 있는 경주시 배동‘경주 남산 일원’에서 통일신라시대 창림사지 일부로 추정되는 금당지와 회랑지 등의 유구가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창림사지는 상, 중, 하 3권역으로 이뤄져 있다.
이번 1차 발굴조사는 쌍귀부(雙龜趺)가 있는 중간 권역을 대상으로 하는데 금당지와 회랑지, 쌍귀부의 비각지, 종각지, 축대, 담장 등의 유구들이 세 차례 이상 중복돼 복잡한 양상으로 확인됐다.
통일신라시대에서 고려시대로 정리되는 연화문, 보상화문(寶相華文), 비천문(飛天文), 귀목문(鬼目文) 와당(瓦當)과 명문 기와 등이 출토돼 8세기부터 14세기까지 사찰이 존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이번 발굴조사는 문화재청이 경주시에 시행한 문화재 보수정비 국고보조사업의 하나로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