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위군(군수 김영만)은 의흥면 연계리 들녘을 벼 무논직파재배 시범단지로 선정하여 육묘를 하지 않고 직접 볍씨를 파종하는 무논직파 재배기술을 2013년부터 시범적으로 시작하여 현재 10ha 면적에 확대 보급에 나섰다.
“벼 무논직파기술”은 못자리 설치 및 관리 단계를 생략하고, 무논상태에서 볍씨를 파종하는 재배법으로 중모 기계이앙과 비교해 품질과 수량에서 큰 차이가 없으면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파종 후 종자 쏠림현상, 조류피해, 논 가장자리 파종 애로, 초기생육 저하의 문제로 농업기술센터와 농가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싹틔운 볍씨를 철분 코팅 후 파종하며, 농가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승용이앙기에 파종기만 부착하여 활용 할 수있고, 1회 작업 시 8~10줄이 동시에 파종되며 비료도 함께 주는 기술이다.
이기술은 못자리 설치 등 벼 육묘과정이 생략되는 못자리 없는 벼 재배법으로 관행 모내기에 비해 노동력 23%(9.5시간/10a→7.3), 총 생산비 10%(753천원/10a→677), 경영비 8%(478천원/10a→440)가 절감되는 기술이다.
선도농가 박두호(의흥면 연계리)는 “못자리를 따로 설치 할 필요가 없어 노동력 절감은 물론 노동력이 집중되는 시기에 필요한 일손을 과수적과 밭작물 재배 등에 돌릴 수 있어 농촌 고령화와 일손부족에 대한 농민의 고민을 속 시원히 해결해 줄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고”말했다. 박종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