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항경제자유구역 재추진 된다..
사회

포항경제자유구역 재추진 된다

신상순, 김영곤 기자 입력 2014/08/04 21:26 수정 2014.08.04 21:26
최종심의 지정해제 대상 제외…사업재개 관심 고조
▲     ©

김관용지사 이병석의원 이강덕시장 공조 극적 부활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가 지난달 28일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구역위원회 최종심의에서 지정해제 대상에서 제외돼 사업이 재개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전국에서 유일하게 경제자유구역 지구해제위기를 모면한 포항지구는 앞으로 있을 사업재개 및 향후 일정 등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포항지역 경제자유구역인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는 포항시 북구 흥해읍 대련리, 이인리 일원에 376만㎡의 규모로서 총사업비 6,426억을 투입, 2020년까지 그린에너지, 바이오, 부품·소재, R&D 특화단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민관합동 개발 사업이다.
지난 2008년 5월 6일 경제자유구역 지정 이후 포항시가 사업시행자로 한국토지주택공사(LH)를 지정하는 등 성사 기대감이 높았으나, 2011년 5월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재무여건 악화, 공기업 구조조정 등의 사유로 사업시행자 변경을 요청한 이후 줄곧 사업추진이 지연되어 왔다.
특히 지난해 11월 경자위에서 포항지구를 자발적 구조조정 지구로 심의·의결하는 등 지구해제의 최대 위기를 맞았다.
이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은 이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대체 사업시행자 선정을 다수의 업체와 협의 했으나, 업체들이 건설경기 침체, 철강 산업 위축 등의 사유로 난색을 표명하며 번번이 사업시행자 유치에 실패하며, 지난4일까지 실시계획 승인 신청이 불투명하게 되자 지구 해제 쪽으로 가닥이 잡히는 듯 했다.
그러나 지난 6월 지방선거로 인한 정치여건이 변화하고 KTX 신 역사착공, 포항테크노파크 2단지 등이 무산되는 등 주변 개발여건이 급변하면서, 경자청, 경북도, 포항시가 3각 공조를 통해 대체 사업시행자 선정에 총력을 기울인 끝에 지난달 21일 ㈜삼진씨앤씨를 대체 사업시행자로 지정·고시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이 과정에서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난 6월(당시 시장당선자) 사업추진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고 이에 따라 포항시는 경상북도,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과 공조를 형성, 산업지구 재추진을 위해 대체사업자를 물색하고, 산업통상자원부 경제자유기획단을 수차례 방문하는 등 지정해제 대상에서 제외토록 집요하게 건의  했다.
또, 이병석 국회의원은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에게 지정해제 대상에서 제외할 것을 강력히 요청해 결국 해제 대상 제외 약속을 받아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 또한 수차례에 걸친 관련부서 회의로 산업단지내에 입주한 기관 및 기업을 찾는 등 정치권과 자치단체의 협조가 빛을 발휘해 지정해제 될 사업을 극적으로 부활시켰다.
포항융합기술산업지구는 대체개발사업시행자인 ㈜삼진씨앤씨에서 자체 타당성 조사와 개발계획 변경(축소) 등을 통해 빠른 시간 내에 실시계획 승인 신청 및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포항시 이기권 기업유치과장은“산업지구 개발이 원활히 추진되면 포항의 강소기업 유치정책의 기틀을 마련하고 뛰어난 연구 인프라의 산업화를 이뤄 철강편중 산업구조를 바꿀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