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 특정기업 이익 대변 들러리
포항시가 BTO(Build-Transfer-Operation)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는 남구 통합정수장 건설 사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포항시가 남구통합정수장 사업을 거론하면서 포항시민들은 기존 포항시의 각종 민간투자사업이 산적한데다 1440억원의 남구통합정수장사업까지 더해지면 포항시의 민간투자부채가 1조원 가까이 치솟아 향후 시민들의 혈세부담이 가중될 것이라는 지적을 수차례 제기해왔다. 또 남구통합정수장이 수도 값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해 물가상승요인이 된다는 것이 기정사실인데도 포항시가 민간투자사업을 주도하는 숨은 기업들에게 놀아나며 이를 억지 추진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했다.
더욱이 지난달 21일 포항시의회 제212회 제1차 본회의에서도 일부 복지환경위원회 위원들이 남구 통합정수장 민간투자사업에 대해 △수돗물 요금 인상에 따른 시민 부담 증가 △민간투자사업(BTO) 사업의 위험성 △시민 공청회와 객관적 데이터 요구 등을 지적했다. 그러나 시가 남구 통합정수장 건설의 당위성을 황당한 논리로 주장하며 이에 대한 고집을 꺾지 못하고 있다.
포항시는 현재 남구지역 유강·제2수원지·택전·병포·공단·갈평 등 6곳의 정수장의 노후화로 인해 유지·관리비가 연간 30~40억원이 든다며 블루밸리와 광명 등 각종 산업단지 및 도시개발에 따른 공급시설 확장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 북구 2곳과 남구 6곳 등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정수장이 효율적으로 분포돼야 도시개발로 인해 오는 2020년 용수수요량이 하루 기준 62만5930t에 용수공급량은 57만8230t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4만7700t이 부족해 용수 확보에 어려움이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현재 용량의 100%를 정수장이 한곳만 제 구실을 못해도 수돗물 공급이 중단될 수도 있다며 민간투자방식이지만 운영 주체는 포항시가 되는 다른 BTO 방식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포항경실련을 비롯한 지역 사회단체 관계자들은 굳이 BTO 또는 BTL 같은 민간투자 사업을 고집하는 포항시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경실련 관계자는“장기적인 안목의 예산계획을 통해 중앙정부 예산을 얻고 포항시 예산과 더하여 사업을 추진하면 될 것을 굳이 민간투자사업을 추진해 특정기업에게 이익을 안겨주고 시민들에게는 부채를 안겨 주는 이유를 설득력 있게 제시해 줄 것”을 요구했다. 또“남구 통합정수장이 건설되면 기존 6곳 정수장의 활용방안에 대한 답도 아직 나오지 않았다”며“포항시가 주장하는 정수장의 지역별 효율적 분포는 상수원과 인구 분포에 따라 건립돼야 할 정수장을 수적 평균으로 나눈 것으로 이 같은 논리가 말이 되는냐”고 지적했다.
덧붙여“블루밸리, 광명산단의 개발이 원활치 않은 상황에다 포항시의 인구성장 또한 정체돼 있으며 이제껏 가뭄과 같은 자연재해를 제외하고는 정수장이 제 구실을 못해 수돗물 공급이 중단된 적 얼마나 있었느냐”며 “마치 용수부족의 큰 위기가 닥칠 듯한 논리로 포장해 시민들의 세금을 기업에게 가져다 바치려는 이유가 뭐냐”고 따져 물었다.
또 다른 관계자는“상반기 포항시 상수도관 교체수리비용으로 26억8053만원이 집행됐는데 이 가운데 노후관 교체는 4km에 10억원이다”며“1400억원이면 400km의 노후관을 교체할 수 있어 출수불량 등을 해결하며 용수공급 원활화와 함께 품질 또한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며 포항시의 사업논리를 반박했다.
한편 포항시는 남구 연일읍 중명리 일원에 사업비 1439억원(공사비 1185억원)으로 1단계 9만톤/일(제2수원지, 병포정수장), 상수관망 11.3km를 신설하는 남구통합정수장 건설을 오는 2015년 1월부터 민간투자법에 의한 제안형 민간투자사업으로 실시할 것을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