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경주 읍성, 옛 모습 복원 가시화..
사회

경주 읍성, 옛 모습 복원 가시화

운영자 기자 입력 2017/05/24 15:52 수정 2017.05.24 15:52
고려시대 축성돼 신라이후 경주 천년을 상징

 경주 읍성이 올 하반기 동성벽과 동쪽 성문인 향일문 복원으로 옛 모습을 찾아간다.
경주읍성은 경주 북부동과 동부동 일원에 위치한 지방읍성으로 고려시대 축성되어 조선시대를 거쳐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경주의 역사와 함께한 신라 이후의 천년을 상징하는 유적이다.
사적 제96호로 지정된 경주읍성은 고려시대 이후 지방통치의 중심지로서 고려시대에는 동경유수관(東京留守館)이, 조선시대에는 경주부아(慶州府衙)가 읍성내에 있었다. 고려 현종 3년(1012)에 축성되었으며, 고려 우왕 4년(1378), 조선 태종~세조년간에 개축하였고, 임진왜란 때 불타고 허물어진 것을 인조 10년(1632)에 중수하고 성문도 다시 세웠다는 기록이 있다.
이후 영조 22년(1746)에 다시 개축되었는데 당시 둘레가 약 2.3km로 성문으로는 동쪽에 향일문, 서쪽에 망미문, 남쪽에 징례문, 북쪽에 공신문이 있었다.
여러 차례 수리와 개축을 거친 경주 읍성은 천년왕국 신라가 고려와 조선을 거쳐 오늘의 모습을 갖게 되는 역사적 통로에 위치하는 매우 소중한 유적으로, 일제 강점기의 무작위적인 파괴와 근현대의 도시개발 사업 속에서 그 옛 모습은 대부분 사라져 버렸다.
이에 경주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신라왕경 복원사업과 더불어 고려와 조선시대 성곽도시 경주의 옛 모습을 갖추고 시가지의 역사문화 거점으로서의 기능을 회복하고자 경주 읍성 복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월성이 신라 천년을 상징하는 유적이라면 읍성은 신라이후 천년을 상징하는 유적이라고 할 수 있다. 읍성이 복원될 경우 신라와 고려, 조선을 잇는 의미있는 역사문화 공간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권경률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