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 위조·원산지 표시 집중 조사
정부가 올해 들어 수입이 급증한 중국산을 비롯한 수입 철근과 H형강을 대상으로 불량품 단속에 나선다.
저가 중국산을 필두로 수입산 철강제품이 국내 시장을 40% 가까이 잠식한 데다 한국산으로 둔갑한 중국산 불량제품까지 범람해 유통시장을 어지럽히고 있다는 철강업계의 지적에 따른 조치다.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국가기술표준원은 26일부터 나흘간 전국의 주요 철강 유통상을 대상으로 철근과 H형강의 품질을 조사한다고 25일 밝혔다.
기술표준원은 이 기간 저가 수입제품의 국가표준(KS) 인증 위·변조 여부와 원산지 표시 및 품질관리 지침 위반 등을 집중적으로 살펴본다는 계획이다.
불량제품을 유통한 업체에 대해서는 행정처분을 하고, 원산지를 허위로 표시한 업체는 경찰에 고발하기로 했다.
기술표준원이 철근과 H형강을 먼저 조사대상에 올린 것은 최근 중국산을 중심으로 수입물량이 늘어 평균 수입단가가 낮아졌기 때문이다.
그만큼 상대적으로 고가인 국산 KS 인증제품으로 위·변조할 가능성이 커졌다는 게 기술표준원 측 판단이다.
중국산 철근은 2011년만 해도 월 평균 1만5000t씩 수입되던 것이 2012년 2만1000t, 2013년 2만5000t을 거쳐 올해 들어 7월까지는 4만4000t씩 수입되는 실정이다. 중국산 H형강 역시 같은 기간 5만4000t, 5만8000t, 7만t에 이어 올 들어 8만4000t씩 국내로 물밀듯 들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수입 철강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39.8%(1121만t)에 달해 상반기 기준으로 2011년(42.7%) 이후 가장 컸다.
철강업체를 회원으로 둔 한국철강협회는 저질 수입 철강재와 국산 둔갑 수입품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는 판단에 따라 비상대책반을 꾸려 감시에 나서는 한편 당국에 덤핑으로 제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