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한수원, 징계받은 임직원 크게 늘어..
정치

한수원, 징계받은 임직원 크게 늘어

이문형 기자 입력 2014/08/26 21:30 수정 2014.08.26 21:30
2년간 178명… 원전 납품비리·마약투약 등

▲  한수원 경주신사옥 설계안.   © 이문형기자
원전 납품비리, 직원마약투약 등으로 여전히 불신의 대상이 되고 있는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의 임·직원 178명이 2012년 원전비리가 본격적으로 불거진 이후 올해 6월까지 징계(파면, 해임, 정직, 감봉, 견책)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5일 새정치민주연합 송호창 의원이 한국수력원자력으로부터 제출받은 징계현황에 따르면 최근 2년6개월간(2012∼2014년6월) 징계자 178명중 56명이 파면 또는 해임의 중징계를 받았으며 122명이 정직·감봉·견책의 징계를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현재 10명이 추가 해임대상에 있어 해임자는 더 늘어날 전망이다. 지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5년간의 해임자가 단 2명에 불과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징계자 해임사유를 사안별로 살펴보면 2012년 직원 2명이 '고리원전 마약투약사건'으로 큰 파문을 일으킨데 이어  1급 고위급 간부가 마약류 취급관련 불법행위로 해임을 당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수력원자력 직원 사법처리현황을 보면 최근 2여년간 77명이 기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52명은 최고 8년∼4월의 실형이 선고됐다. 10명은 벌금형을 받았다.
올해 추가로 기소(구속기소 9명·불구속 기소1명)된 10명은 현재 1심 재판이 진행중이며 2명은 기소중지 상태에 있다.

송 의원은 "내성화된 불법적 문제를 당연시하듯 면죄부를 줌으로써 원전마피아라는 국민적 공적을 스스로 키워온 것이나 다름없다"며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철저한 직무감찰, 청렴조직문화 확산, 투명한 경영문화 등 수력원자력의 뼈를 깎는 자구개혁의지가 선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송 의원은 "한수원이 2017년 1차 수명연장 승인시한 종료를 앞두고 있는 고리 1호기에 대한 안전성평가를 사실상 착수한 것으로 드러났다"고 말했다.

그는 "발전사업자가 주도하는 '안전성 평가'를 안전규제기관이 사후 검증하는 현행 방식으로는 국민의 불안감을 불식시킬 수 없다"며 "올해 10월이면 나오게 될 주요결과들은 투명하게 공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문형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