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자살률은 점차 낮아지는데 반해 기초생활수급자의 자살률은 증가하고 있어 취약계층에 대한 자살예방정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1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새누리당 김정록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기소생활수급자 자살률은 2010년 14.3%에서 2013년 20.9%로 절반에 가까운 46% 늘었다.
같은 기간 전체 자살률이 31.2%에서 28.5%로 3%포인트 가량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16개 시도별(세종시 제외) 기초생활수급자 자살자 현황자료를 보면 부산을 제외한 나머지 지자체의 기초생활수급자 자살이 모두 증가했다.
증가율이 가장 큰 지자체는 경남인데 2010년 인구10만 명 당 6.7명의 자살률이 2013년 27.9명으로 4배 이상 뛰었다.
이런 결과는 취약계층의 생계적 어려움이 종전보다 더 커진 것에서 기인하는 측면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