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출고가 의혹 정면 반박
삼성전자가 이동통신 3사와 협력해 출고가를 부풀렸다는 의혹에 대해 정면 반박에 나섰다.
13일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 우상호 의원(새정치민주연합)은 미래창조과학부로부터 제출받은 '공정거래위원회 전원회의 의결서'를 공개하며, 삼성전자가 소비자에게 지급하는 이동전화 단말기 보조금(장려금)을 미리 이동전화 단말기 판매금액에 반영해 단말기의 공급가 또는 출고가를 높게 책정했다고 주장했다.
소비자가 이동통신서비스에 가입할 때 이동전화 단말기를 할인받아 실제보다 저렴하게 구입하는 것처럼 소비자를 혼동케 했다는 것이다.
특히 우 의원은 삼성전자 '갤럭시유(Galaxy U)' 제품의 삼성전자와 LG유플러스가 단말기 출고가격, 소비자가격, 대리점마진, 네트(net)가격(공장에서 출고될 당시 가격을 의미) 등을 협의하기 위한 내부 문건을 공개했다.
이 문건에는 삼성전자는 내정가격 21만9200원에 대리점 마진 5만원을 더해 소비자가격을 25만9200원으로 책정하고, 여기에 장려금과 보조금을 붙여 출고가를 무려 91만3300원에 하자고 제안하는 내용이 담겼다.
LG유플러스는 동일제품에 대해 18만7600원에 대리점 마진 5만원을 붙여 소비자가격을 23만7600원을 제안했다. 출고가는 89만1900원을 제시했다.
이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5만9200원짜리 단말기를 출고가 91만3500원으로 제안한 것으로 그 차이는 무려 65만4300원에 이른다. 이 금액에 제조사의 판매장려금과 이동통신사가 2년 이상 장기가입 시 지급하는 보조금이 포함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삼성전자는 해명자료를 통해 "이통3사와 협의해 출고가를 부풀린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삼성전자는 "2010년 작성된 삼성전자 갤럭시 U 내부 문건에 명기된 네트가는 '공장에서 출고될 당시 가격'이 아니다"라며 "이통사가 대리점에 제품을 공급하는 가격인 출고가에서 이통사가 운영하는 보조금과 유통망의 장려금, 마진 등을 제외한 금액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통사는 가입자 유치를 위해 소비자 지원금과 대리점 마진으로 구성된 보조금을 운영한다"며 "결국 네트가는 출고가에서 이통사의 보조금을 제외한 금액일 뿐, 공장에서 출고되는 가격으로 표현되는 것은 명백히 잘못된 해석"이라고 주장했다.
삼성전자는 또 "네트가는 이통사의 보조금은 물론, 유통 장려금, 마진까지 반영된 금액으로 최소 얼마까지 판매될 수 있는지 가격시뮬레이션 차원에서 내부적으로 표기한 것일 뿐, 공장에서 출고되는 가격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재료비, 생산비, 개발비 등을 고려하고 국가별, 통신사별 다양한 조건과 상황을 감안해 합리적으로 스마트폰 가격을 결정하고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