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2개 정유사 소멸액 400억원
국내 4대 정유사 중 2개 정유사에서만 최근 5년간 사용되지 못해 소멸한 마일리지가 400억원 규모가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부가 최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새누리당 정수성(경북 경주) 의원에게 제출한 2개 정유사의 '주유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소비자가 사용한 평균 마일리지는 전체의 26.4%에 불과했다.
특히 유효기간 만료 등으로 사용하지도 못하고 1포인트당 1원의 가치를 가진 소멸 마일리지는 400억원이 넘는다.
A정유사의 마일리지는 연평균 37.3%를 사용했다. 소멸 마일리지는 139억원이며 B정유사는 15.4%만이 사용돼 262억원이 소멸했다.
이번 400억원 규모는 자료를 제출한 2개 정유사만의 소멸 마일리지를 합산한 것으로 자료를 제출치 않은 업계 1, 2위를 다투는 정유사의 마일리지를 합산하면 1000억원대 이상의 규모일 것으로 추산된다.
이 정유사 주유마일리지 현황 자료는 처음으로 공개된 자료다. 정유사에서 영업기밀을 이유로 제출을 미루다가 내게 됐다. 이마저도 2개 정유사는 파악할 수 없다는 이유로 자료 제출을 거부했다. 제출한 2개 정유사도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외부에는 비공개해 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정 의원 측은 마일리지는 소비자의 관심과 불만이 많은 분야고 소비자들의 소비자상담이나 소비자 이의제기도 상당해서 현황자료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는 태도다.
정 의원은 "마일리지 공개는 소비자 알권리 보호와 석유판매관련 관련 정책의 수립이나 불공정약관 등의 개선에 필요한 것으로 정유사가 민감하게 반응하고 자료 제출을 거부하는 것은 결국 정유사의 마일리지 제도 자체에 문제가 있다는 것을 스스로 인정한 셈"이라고 주장했다.
또 "정유사가 철옹성이라는 오명을 벗고 '제3의 화폐'라고 불리는 마일리지 제도가 무용지물이 되지 않기 위해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고 정유사들의 적극적인 홍보와 사용처를 확대하는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