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마을돌봄터 신설… 경북형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
경북

마을돌봄터 신설… 경북형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

운영자 기자 입력 2018/12/23 17:31 수정 2018.12.23 17:31
2019년 마을돌봄터 10개소 신규 설치, 2022년까지 70개소로 확대

 내년부터 방과후 돌봄 서비스가 필요한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마을 단위의 돌봄터가 새롭게 설치되고, 돌봄 전문인력의 촘촘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돼, 도내 맞벌이 부모의 자녀 돌봄 부담이 크게 줄어들 전망이다.
경북도는 이철우 도지사의 민선 7기 핵심 공약과제 ‘경북형 온종일 돌봄체계 구축’을 성공적으로 이행하기 위해 내년에 예산 14억 5백만원을 투입해 마을돌봄터 10개소를 신설한다.
2022년까지 70개소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마을돌봄터는 공공시설(주민센터, 도서관, 학교 등), 마을회관, 아파트 등 접근성이 높고 개방된 안전한 시설의 유휴공간을 활용해 시군에서 설치하고, 돌봄 전문인력을 배치*해 6~12세 아동에게 상시·일시·긴급돌봄, 등·하원 지원 등 다양한 돌봄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전국 최초로 돌봄교사와 더불어 ‘돌봄 코디네이터’를 별도 배치해 지역 내 인적·물적 자원*을 적극 활용, 부모들의 요구와 아동별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프로그램을 발굴·제공할 계획이다.
또한 돌봄 관련 상담과 정보제공, 돌봄 기관 간 연계·협력 등 지역 내 초등 돌봄 컨트롤 타워 기능도 수행한다.
그동안 정부는 초등 돌봄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왔다. 하지만, 저소득·취약계층 지원에 중점을 둬 맞벌이 가정에 대한 공급이 부족하고, 부모 병원 이용과 같은 긴급 상황 시 이용할 수 있는 일시·긴급 돌봄 서비스도 부족했다.
또한 돌봄 사업이 복지부, 여가부, 교육부 3개 부처에서 분절적으로 추진되어 사업 간 연계가 미흡하고, 지역 상황 등을 고려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러한 한계로 도내 돌봄이 필요한 초등학생 약 33천 명 중 공적 돌봄 서비스를 이용하는 아동은 약 22천 명 정도로 초등 돌봄 수요 충족률이 65% 수준에 그치고 있다.
경북도는 앞으로 2022년까지 마을돌봄터가 70개소로 확대되면 연간 2천 명 이상의 아동들이 질 높은 돌봄 서비스를 받을 수 있게 돼, 맞벌이 부모 자녀 등에 대한 돌봄 사각지대가 상당부분 해소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 밖에 워킹맘의 자녀 돌봄 공백을 해소해 일과 육아를 조화롭게 병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여성의 경력단절 예방과 경제활동 참여율 제고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정규식 경북도 여성가족정책관은 “자녀 돌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뿐만 아니라 온 마을이 나서서 함께 아이를 돌보는 공동체 기반의 마을 돌봄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번 마을돌봄터 사업은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공동체 기반의 마을 돌봄을 활성화하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영삼기자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