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추도시생활권 발전계획 및 대구 발전계획 논의
대구시(시장 권영진)는 10일 시청 상황실에서 ‘제1차 대구시 생활권발전협의회 회의’를 열고 민선 6기 생활권정책의 청사진이 될 대구중추도시생활권발전계획 및 대구시 발전계획 등을 논의했다.
대구시는 정부의 '지역행복생활권' 정책 시행에 따라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2조의 규정에 따라 지난 1월 대구시를 중심으로 인근 8개 지자체(영천시, 경산시, 군위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칠곡군, 합천군)와 함께 대구중추도시생활권을 구성했다. 이는 총 9개 지자체 참여로서 전국 56개 생활권 중 전국 최다 지자체 참여 규모다.
또한, 국가균형발전특별법 제29조에 따라 지역생활권 발전계획 수립 및 생활권 협력사업의 발굴 지원 등을 위한 협의·조정기구인 대구시 생활권발전협의회를 지난 10월 구성 완료하고, 이번 회의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에 들어갔다.
이번 회의에는 위원장인 권영진 대구시장을 비롯한 학계, 언론계 등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생활권발전협의회 위원 20명이 참석하여 그간 대구시 지역생활권 추진상황을 보고받고 ‘대구중추도시생활권 발전계획’ 및 ‘대구시 발전계획’ 등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대구중추도시생활권 발전계획’은 5대 분야를 중점으로 구체적인 전략 및 세부사업들이 담긴 마스터플랜으로서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자체 간 협력과 이에 따른 연차적 투자계획을 제시하고 있다. 지난 9월 2주간 우리 생활권 16개 시·군·구 주민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주민체감형 사업과 연계협력 사업 등 ‘균형 잡힌 행복한 생활터전 창조’를 비전으로 2015년 지역행복생활권 신규사업 발굴을 위한 계획 수립이다.
또한, ‘대구시 발전계획’은 국가균형발전특별법에 따른 법정계획으로서 정부의 ‘지역발전 5개년 계획’ 중 부처의 부문별 계획과 함께 양대 축을 이루는 계획으로, ‘대구중추도시생활권 발전계획’의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본 계획은 대구시의 지역특성을 반영한 ‘남부경제권 창조경제 중심도시 대구’라는 비전 제시와 3대 분야인 지역행복생활권 52개, 일자리?경제 49개, 문화?복지?교육 89개 총 190개 사업에 국비 5조 4,540억 원 정도로 계획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회의를 통해 “대구생활권발전협의회가 지역생활권 발전에 대한 많은 아이디어의 제공은 물론 ‘오로지 시민행복 반드시 창조대구’를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해 줄 것”을 당부했다.
김흥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