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보험사인 현대라이프와 손해보험사인 스코리의 지급여력비율(RBC비율, 가용자본/요구자본)이 150%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급여력비율은 보험사의 대표적인 재무 건전성 지표다. 보험업법에 따르면 재무건전성 최저기준은 100%다. 금융감독원은 현대라이프와 스코리에 증자,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재무건전성을 높이도록 할 계획이다.
20일 금감원에 따르면 3월말 기준 현대라이프는 지난해 말에 비해 28.5%p 줄어든 122.2%, 스코리는 54.5%p 줄어든 146.3%의 RBC비율을 각각 나타냈다. 업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이다.
현대라이프의 경우 제로보험의 판매 급증에 따른 사업비 증가로 지급여력 비율이 일시적으로 급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라이프는 지급여력비율을 높이기 위해 오는 6월말까지 1000억원의 증자를 추진하고, 스코리는 연내에 모회사로부터의 영업기금을 증액받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한편 3월말 기준 전체 보험사의 RBC비율은 283.3%로 지난해 말(278.3%)에 비해 5.0%p 상승했다.
생명보험사는 12.2%p 상승한 298.5%, 손해보험사는 7.9%p 하락한 253.1%를 각각 나타냈다.
금감원은 "보험사 전체 RBC비율은 보험업법에서 정하고 있는 재무건전성 최저기준을 크게 웃돌고 있다"며 "150% 미만인 일부 회사에 대해서는 재무건전성 개선을 지도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보험사들의 지난 3월 말 기준 RBC비율이다. ◇생명보험사 ▲한화 247.7% ▲삼성 355.7% ▲교보 298.3% ▲농협 281.9% ▲흥국 215.4% ▲현대라이프 122.2% ▲신한 241.9% ▲우리 176.5% ▲KDB 167.7% ▲미래에셋 240.6% ▲KB 216.1% ▲동부 215.9% ▲동양 230.9% ▲하나 219.9% ▲IBK 216.3% ▲알리안츠 215.9% ▲메트라이프 392.6% ▲PCA 375.3% ▲에이스 453.9% ▲푸르덴셜 420.5% ▲ING 312.5% ▲라이나 356.8% ▲AIA 335.9% ▲카디프 236.4% ▲교보라이프 7193.7% ◇손해보험사 ▲메리츠화재 208.4% ▲한화손해 164.1% ▲롯데손해 153.1% ▲흥국화재 155.4% ▲삼성화재 372.5% ▲현대해상 185.4% ▲LIG손보 174% ▲동부화재 229.7% ▲농협손보 234.5% ▲엠지손보 158.9% ▲서울보증 473.9% ▲코리안리 193.6% ▲악사손해 152.8% ▲더케이손해 175.4% ▲에르고다음 420.2% ▲현대하이카 152.6% ▲AIG손보 184.6% ▲ACE 225% ▲페더럴 227.1% ▲제너럴리 436.1% ▲스위스리 152.4% ▲뮌헨리 175.6% ▲퍼스트 222% ▲미쓰이 269.7% ▲동경해상 211.9% ▲스코리 146.3% ▲RGA 358.1% ▲AIGUG 981.2% ▲하노버리 190.8% ▲젠워스 1058.00% ▲다스법률 4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