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는 최근 조현병 환자에 의한 진주 방화 살인사건과 진료 중 환자에 의해 주치의가 사망하는 사건 등 정신질환자의 강력범죄 사건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지역사회의 불안감과 우려의 목소리가 커짐에 따라 정신건강 안전망 구축 확대에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기로 했다.
경북도는 전국에서 가장 넓은 지역이지만 정신건강의학과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의료기관이 전혀 없거나 정신건강복지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시군이 많아 정신건강 안전망 확보에 대한 요구도가 타 지역에 비해 높은 실정이다.
이에 경북도는 지난해 정신건강복지센터가 미설치된 8개 시군에 센터 설치를 완료하고 올해에는 운영비를 지난해 대비 22억원 증액, 총 24개소에 74억원을 투입하였으며 정신건강 전문인력도 올해에만 60여명을 충원 중에 있다.
또한 정신질환자들의 재활과 사회복귀를 돕는 정신재활시설도 2개소 추가 설치하고 현재 운영중인 20개소에 3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여 보다 내실있는 운영을 돕고 있다.
경북도는 이처럼 대부분의 시군에 센터와 시설들이 설치되고 전문 인력도 지속적으로 충원됨에 따라, 앞으로 사각지대에 놓여져 제대로 된 서비스를 받지 못하는 이들을 조기 발견해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정신과적 위기상황에서도 경찰·정신의료기관·읍면동 등 유관기관과 공조하여 효과적인 대응을 해 나가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는 아울러 ▲정신건강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찾아가는 정신건강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마음톡톡」 ▲정신질환자의 전인적 회복을 돕는 프로그램 「Re:Start」 ▲생애주기별로 추진되고 있는 청소년 「마음성장학교」, 대학생 「정신건강박람회」, 노년기 「마음건강백세」 등 다양한 정신건강사업을 23개 시군과 함께 확대 추진하고 있다.
한편 경북도는 최근 개소한 12개소의 정신건강복지센터들이 조속한 시일내 원활히 운영될 수 있도록 올해 4월까지 현장 컨설팅을 완료하고, 신규종사자들의 역량강화를 위한 직무교육 등 종사인력의 전문성 확보에도 나설 계획이다.
김재광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정신건강증진시설의 역량강화와 유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사회의 정신건강 안전망을 공고히 해 정신질환자들이 적절한 치료를 받고 도민들도 안전한 환경을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강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