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산화수소 농도 10배 높은 암세포 특성 이용
암세포만을 집중 공격하는 항암물질 저분자화합물이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 교수 연구팀에 의해 만들어졌다.
23일 한국연구재단에 따르면 고려대 화학과 김종승 교수 연구팀이 항암제가 정상세포가 아닌 암세포만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저분자화합물을 발굴해냈다.
연구팀이 발굴한 화합물은 암세포 내의 과산화수소에 반응해 결합하고 있던 항암제(5-FU, 5-플루오로우라실)를 방출하도록 해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물질이다.
정상세포에 비해 과산화수소 농도가 10배 가량 높은 암세포의 특성을 이용해 과산화수소가 많이 만들어지는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공격,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원리다.
연구팀은 인간의 암세포를 피하에 주사해 암을 유도한 생쥐모델에 투여한 결과 암 조직이 눈에 띄게 줄어드는 것을 확인했다.
특히 표적항암제는 암세포 사멸과정에서 나타나는 DNA 손상을 형광으로 나타나도록해 모니터링 할 수 도 있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이용할 경우 기존 항암제가 암세포 이외 정상세포까지 영향을 미쳐 발생하는 탈모나 구토, 어지러움, 급격한 체중감소 같은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려대 김종승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기존의 낮은 항암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을 다분자로 결합시켜 항암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됐다"며 "또 암세포의 미토콘드리아를 선택적으로 공격해 사멸시키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만큼 항암 효과 개선 및 부작용 극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리더연구자지원사업(창의)의 지원으로 이뤄졌고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에 게재됐다.(논문제목 : Mitochondrial Induced and Self-Monitored Intrinsic Apoptosis by Antitumor Theranostic Prodrug: In Vivo Imaging and Precise Cancer Treat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