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시작 평균연령 19.7세…폭탄주'소맥'이 96.0%
하루 한번의 술자리에서 소주를 8잔 이상 섭취(남자기준)하는 고위험 음주자와 폭탄주를 마시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만 15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2013년의 주류 소비·섭취 설문조사 결과를 23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최초 음주 연령은 2012년 평균 20.6세에서 2013년 평균 19.7세로 낮아졌으며, 조사대상자 중 95.0%가 음주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회 평균 음주량은 맥주 1잔(200㎖)을 기준으로 남자는 6.5잔, 여자는 4.7잔을 마셔 국민들이 생각하는 적정 음주량(남자 4.9잔, 여자 3.8잔) 및 WHO가 제시한 저위험 음주량(남자 5.6잔, 여자 2.8잔)보다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소주 평균 음주량도 1잔(50㎖)을 기준으로 남자는 7.8잔, 여자는 4.5잔으로 본인들이 생각하는 적정음주량(남자 4.6잔, 여자 3.2잔)보다 많았다.
더욱이 과음하는 고위험음주 비율도 증가했다.
음주 경험자 중 하루 한 번의 술자리에서 소주를 남자는 8잔 이상, 여자는 5잔 이상 섭취하는 고위험음주를 경험한 자의 비율은 2012년 68.2%에서 2013년 82.5%로 뛰었다.
연령별로는 20대와 30대가 86.7%와 86.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40대( 85.6%), 50대(80.5%), 60대(77.1%) 등의 순이었다.
또 음주 경험자 중에서는 55.8%가 폭탄주를 마시고 있었다. 2012년도 32.2%에 비해 약 70% 이상 증가한 수치다.
마신 적이 있는 모든 폭탄주에 대해 조사한 결과, 소주와 맥주를 섞은 일명 '소맥'이 96.0%로 가장 빈번했고, 위스키와 맥주 34.4%, 소주와 과실주 2.6%, 맥주와 과실주 1.4% 등의 순이었다.
특히 카페인이 많이 들어 있는 '에너지음료'와 술을 함께 섞어 마시는 에너지폭탄주 경험자는 2012년 1.7%에서 2013년 11.4%로 급격히 증가했다. 음주 중 에너지음료를 마시는 비율도 2012년 6.2%에서 2013년 24.7%로 늘었다.
이러한 음주 문화에도 건강한 음주습관에 대한 인식은 증가했다. 올바른 음주습관을 알고는 있지만 실천하지 않는다는 의미다.
'식사를 하고 술을 마신다'는 응답은 2012년 15.0%에서 2013년 20.2%, '술을 마실 때 물 등을 섭취한다'는 국민은 20.9%에서 35.1%로, '원하지 않는 술은 거절한다'는 답은 49.0%에서 53.3%로 증가했다.
식약처는 연말연시 잦아지는 술자리를 대비해 건강을 위한 안전한 음주 정보를 홈페이지(
www.foodnara.go.kr/alcohol_safety 또는
www.주류안전.kr)에서 게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