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사이버안보위기평가회의 개최해 상황 점검
청와대 국가안보실은 24일 한국수력원자력의 원전자료 유출 등 사이버공격 우려에 청와대가 제대로 된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자 "주도적으로 상황을 관리해 오고 있다"면서 해명에 나섰다.
안보실은 이날 오후 별도의 보도참고자료를 내고 "국가안보실은 사이버안보에 대한 컨트롤타워로서 초기단계부터 사태의 엄중함을 인식해 선제적이고 주도적으로 상황을 관리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안보실은 "북한의 소니픽처스 해킹사건 및 유엔(UN)에서의 북한인권법 논의에 대한 북한의 반발 등 최근 안보상황을 고려해볼 때 북한이 사이버테러를 자행할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고 판단했다"며 지난 17일 김관진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국가사이버안보위기평가회의를 주재했다는 점을 설명했다.
또 "18일 한수원의 원전 관련 자료가 유출됐다는 의혹이 언론을 통해 공개됨에 따라 즉각 국가정보원과 산업자원부 및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한수원 및 원전현장에서 합동 안전점검을 하도록 지휘했다"면서 "22일 김규현 안보실 제1차장 주재 하에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개최했다"고 강조했다.
최근 잇단 사이버공격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 내 사이버보안 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직원이 행정관 1명뿐이라는 지적 등이 일각에서 제기되자 이처럼 적극 해명하고 나선 것이다. 직전까지 안보실은 일련의 사태에 아무런 입장 표명이 없었지만 사이버테러 우려의 화살이 안보실을 향하자 뒤늦게 대응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안보실은 "25일에도 김 실장 주재로 국가사이버안보위기평가회의를 개최해 상황을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회의 계획까지 밝혔다.
아울러 "안보실은 22일부터 기존의 사이버대응팀에 추가해 관계기관 전문가들을 보강하고 사이버위기대응팀을 편성·운용했다"며 "국정원, 산자부, 원자력안전위, 검찰 등과 긴밀히 협력하면서 ▲합동 안전점검 진행상황 ▲국정원의 해킹 조사 진행상황 ▲검찰 수사진행 상황 등을 수시로 보고받고 관계기관 간 업무조정 역할을 수행해오고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