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새해 들어 첫 국무회의를 주재하는 등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신년 업무일정에 돌입한다.
박 대통령은 오는 6일 오전 청와대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할 예정이다. 지난 1∼2일 현충원 참배와 정부 신년인사회를 가진 박 대통령이 국무회의를 시작으로 일상 업무를 시작하는 셈이다.
특히 국무위원들이 모인 가운데 처음 주재하는 회의인 만큼 박 대통령이 향후 국정운영 방향을 설명하면서 중점 추진과제들을 강조하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해 박 대통령은 이미 신년사에서도 경제회복과 국가혁신, 실질적인 통일준비 등을 언급한 만큼 이에 대한 각 부처의 역할을 주문할 전망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 2일 정부 신년인사회에서는 올해가 '국가혁신의 해'가 되도록 할 것이라고 선언한 바 있다.
특히 올해 공공기관을 비롯해 금융·노동·교육부문 등의 구조개혁을 추진할 것을 강조한 만큼 이에 대해 관계부처가 앞장서줄 것을 요청할 것으로 보인다.
이와 함께 통일문제에 대해서는 어떤 주문을 내놓을지도 관심이다. 지난해 말 우리 정부가 통일준비위원회 차원의 대화 제안을 내놓은 데 이어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까지 언급하자 남북관계 진전에 대한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이 신년인사회에서 "통일이 구체적인 현실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어느 정도 원론적인 입장을 피력하긴 했지만, 새정치민주연합 문희상 비상대책위원장을 향해 야당의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어느 정도 적극적인 대화 의지를 지닌 것으로 보인다.
이를 볼 때 이번 국무회의에서도 통일부 등 관계부처를 향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준비를 당부하는 등 올해 통일준비 작업에 대한 주문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별도로 박 대통령은 이번 주 신년 국정구상 발표에 대한 막바지 준비에도 나설 것으로 보인다. 신년 구상 발표의 시기와 형식 등이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어느 정도 윤곽은 예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당장 오는 5일 청와대 문건유출 사건에 대한 검찰의 중간 수사결과 발표가 예정돼있는데다 오는 9일에는 이번 의혹과 관련해 국회 운영위원회가 열릴 예정인 만큼 이번 문제에 대한 결론을 어느 정도 지켜본 뒤 박 대통령이 신년 구상 발표에 나설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이 때문에 박 대통령은 이번 주 신년 구상에 대한 막바지 준비를 마친 뒤 다음주께 발표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또 형식은 대국민담화보다는 기자회견 방식을 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박 대통령은 지난주 가진 정부 신년인사회에 이어 각계 신년인사회에 참석하는 일정을 이번 주에 진행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앞서 박 대통령은 지난해 초에도 문화예술계, 경제계,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계 등의 신년인사회에 참석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