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우울증 환자의 절반은 우울증 치료에 방해가 될 정도로 1주일에 최소 소주 2병 이상의 '위험 음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양의대 정신건강의학과 박용천 교수와 용인정신병원 박선철 과장은 국내 병원에서 치료 중인 19세 이상 우울증 환자 402명을 대상으로 음주 실태를 조사한 결과 전체의 51%가 위험 음주자로 분류됐다고 7일 밝혔다.
세계보건기구(WHO)는 하루 알코올 섭취량이 40g(소주 4잔) 이상인 남성과 20g(소주 2잔)을 초과하는 여성을 '위험 음주자(hazardous drinker)'로 분류하고 있다.
국내 우울증 환자 가운데 '위험 음주자' 비율은 미국의 47%, 네덜란드 20%보다 높다.
위험 음주를 하는 우울증 환자의 평균 나이는 40세로 일반 우울증 환자 평균 나이보다 5살가량 어렸다.
성별로는 남성의 위험 음주 비율이 43%로 여성 32%를 크게 앞섰습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의학회지 1월호에 발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