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오늘의 窓..
사회

오늘의 窓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1/14 17:37 수정 2015.01.14 17:37
황우여장관 발언의 ‘불편한 진실’
  황우여 교육부 장관의 발언을 둘러싼 진실과 오해 논란이 거세다. 황장관은 발언을 쏟아내고 교육부는 주워담는 모양새다.
  연초부터 터져나온 문제의 발언들은 누리과정, 한국사 교과서 발행체제 등 주요 정책들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것들이다.
  무책임한 듯한 황장관의 발언탓에 오히려 사회전반에 걸쳐 큰 혼란을 주는 형국이지만 교육부는 진실은 왜곡한 채 덮기에만 급급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황 장관은 지난 8일 서울 여의도 63빌딩에서 열린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 토론회에 참석해 "역사를 세 가지, 네 가지, 다섯 가지 이렇게 가르칠 수는 없다"며 "학생들에게는 채점을 해야 되는 교실에서 역사를 한 가지로 균형있게, 권위있게 가르치는 것은 국가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역사를 한가지로 가르친다는 것은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 전환을 시사하는 것과 다름없다.
  기자는 이 내용을 급히 타전했다. 그러자 교육부의 한 공무원은 "황 장관이 교과서라고 발언한 적이 없다"며 "사실과 다르니 빨리 조치를 취해 달라"고 닥달했다.
  하지만 뉴시스 기사가 타전된 후 뒤이어 대다수 언론들도 황장관의 발언이 '국사교과서의 국정화 시사'라는 취지의 뉴스를 쏟아냈다. 
  교육부는 논란이 불거지자 뒤늦게 설명자료를 내고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지속적인 이념 편향성 논란과 이에 따른 학교 현장의 혼란을 해소하기 위한 국가의 책무성을 강조한 것"이라며 "국·검정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 결정된바가 없으며 심도 있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해명했다.
  이에 앞서 교육부는 출입기자단에 배포한 신년사를 오해의 소지가 있다며 뒤늦게 수정을 하는 등 한바탕 소동을 벌이기도 했다.
  황 장관은 신년사에서 "안전한 학교와 고른 교육기회 제공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누리과정, 초등 돌봄교실과 같이 어린 학생들의 동등한 출발선을 보장하는 일을 국가가 책임지겠다"고 말했다.
  황 장관의 이같은 발언은 일파만파로 퍼졌고, 만 3~5세 유아를 키우는 학부모들은 환영했다. 하지만 교육부는 이에 대해 얄팍한 해명으로 일관했다. 교육부는 설명자료를 통해 "누리과정을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발언은 교육부가 누리과정에 드는 예산을 국고로 지원하겠다는 뜻이 아니다"고 말했다.
  신년사는 2015년의 국정운영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가뜩이나 누리과정은 지난해 예산편성을 놓고 기획재정부와 시·도교육청이 갈등을 겪어왔던 사인일 만큼 민감한 부분이었다.
  그런데도 황장관은 '누리과정은 국가가 책임지겠다'는 취지의 발언을 대수롭지 않게 내뱉은 모양새가 됐다. 이후 황장관의 발언은 교육계의 수장으로서 매우 무책임한 처사로 비춰지고 있다.
  "황장관님! 장관님은 현재 정치인이 아니십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