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노동자 평균 月임금, 4인가구 표준생계비 절반도 못 미쳐..
경제

노동자 평균 月임금, 4인가구 표준생계비 절반도 못 미쳐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1/18 18:30 수정 2015.01.18 18:30
한국노총, 2015년 표준생계비 발표

 

 

우리나라 전체 노동자 월평균 임금총액이 초등학생 자녀 2명을 둔 4인 가구의 표준생계비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은 18일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15년 한국노총 표준생계비'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기준 우리나라 전체 노동자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312만원으로, 초등학생 자녀 2명을 둔 4인 가구의 표준생계비인 556만원의 56% 수준에 불과했다.
표준생계비는 교육비, 보건비, 통신비, 주류 및 담배비, 의류 및 신발비 등 12개 항목을 가구 규모별로 구성한 이론적 생계비를 말한다.
노동자 가구가 건강하고 정상적인 삶을 사는데 필요한 생계비 수준을 산출한 것이며 실제 노동자들이 받는 현실 임금은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이에 한국노총은 "노동자들이 임금만으로는 생계를 꾸릴 수 없어 결국 빚에 의존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을 보여준다"며 "현재의 생계비에도 미치지 못하는 저임금 구조는 광범위하게 워킹푸어 계층을 양산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비판했다.
또 한국노총은 올해 표준생계비가 지난해보다 평균 4.1%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밝혔다.
2인가구 표준생계비는 362만원으로 지난해보다 6.97%가 올랐고 1인가구는 216만원으로 6.03%가 높아졌다.
또 초등학생 자녀 2명을 둔 4인가구 표준생계비는 556만원으로 3.74% 상승, 중·고등학생 자녀를 둔 4인가구의 경우 3.55% 오른 612만원, 대학 및 고등학생 자녀를 둔 4인가구는 2.93%가 높아진 683만원이었다.
유치원생 자녀 1명을 둔 3인가구의 경우 1.34%가 오른 452만원으로 변동폭이 가장 적었다.
올 표준생계비 상승의 주요인으로는 주류 및 담배비와 주택·수도·전기 및 연료비 등이 꼽혔다.
이달 1일부터 시행된 담배값 2000원 인상과 아파트 전세 증가율로 2인과 3인 가구의 부담이 늘어난 것과 통신비 등의 상승 때문이다.
아울러 1인가구와 4인가구의 경우 전체 생계비의 30% 이상이 주거·의료·교육비인 것으로 파악돼 복지혜택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노총은 "정부는 지금이라도 노동자와 서민의 살림살이를 위협하는 투기위주의 주택정책과 무분별한 의료민영화, 교육민영화, 사교육 확대 정책을 중단하고 주거·의료·교육비의 공공성을 강화해 노동자 서민의 최소한의 삶의 기반을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