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아와 접경한 터키 지역에서 사라진 김 모(18) 군이 이슬람 무장세력인 IS(이슬람 국가)에 가담하기 위해 스스로 시리아로 들어갔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확한 사실 관계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한국이 결코 ‘IS 테러’의 무풍지대가 아님을 다시 한 번 깨닫게 하는 사건이다.
최근 프랑스 테러의 경우, IS에서 훈련받고 돌아온 귀환자에 의해 자행됐다. 지난해 9월 포로로 잡힌 한 IS 대원에게서 한국인 대원도 있다는 증언이 나왔다. 미국 국무부는 IS 가담 외국인이 90여 개국의 1만8000여 명이라고 밝혔다. 이들 중엔 이슬람 광신주의자들도 있지만 사회에서 좌절한 일부 젊은이들이 도피처로 찾는 경우도 적지 않다. 이미 한국이 IS의 표적이 되고 있다는 정황은 많다. 테러의 최종 목표는 세계에 충격을 줌으로써 IS의 존재감을 과시하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아시아에서 한국과 일본을 떠올리는 일은 어렵지 않다. 전문가들은 두 나라 모두 미국의 동맹국으로 미군 기지가 있으며, 지리적으로 동양이지만 서방 가치를 적극 수용한 선진국이고, 테러 대비도 상대적으로 취약하다는 점을 들고 있다.
실제로 1990년대 알카에다 3인자였던 칼리드 셰이크 모하메드가 김포공항에서 비행기를 납치, 미군 기지를 공격하려던 계획을 세우고 조직원을 한국에 침투시켰다가 적발된 사례도 있다.
게다가 북한과의 연계 가능성도 우려된다.
북한이 이슬람 테러조직을 지원한다는 주장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그럼에도 우리의 대응은 너무 안이하다. 미국 9·11 테러 직후인 2001년 11월 국회에 제출된 테러방지법안은 우여곡절 끝에 ‘국가대테러활동 기본법안’으로 바뀌었고, 아직 국회에 ‘방치’돼 있다.
정부와 국회는 이 법안이라도 빨리 제정해야 한다. 테러 방지를 위한 범국가적 노력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