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일간경북신문

포스텍 조길원 교수팀, 그래핀 박막 생산효율 대폭 개선..
경제

포스텍 조길원 교수팀, 그래핀 박막 생산효율 대폭 개선

운영자 기자 입력 2015/01/19 20:11 수정 2015.01.19 20:11





포스텍(포항공과대)은 화학공학과 조길원(58) 교수와 봉효진(30) 연구원, 조새벽(28) 박사 연구팀이 금속호일을 두루마리 말듯 돌돌 마는 방식으로 그래핀의 생산효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Graphene)은 구리보다 높은 전기 전도성과 강철보다 강한 강도, 다이아몬드보다 높은 열전도성으로 ‘꿈의 소재’로 최근 각광받고 있다.
이 연구성과는 재료분야 권위지인 ‘나노스케일(Nanoscale)’지의 표지논문을 통해 최근 발표됐다.
그 동안 그래핀에 대한 많은 연구가 경쟁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면적 대량생산에는 원재료와 에너지 소모가 클 뿐 아니라 복잡한 기기설비와 많은 생산시간 소요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 왔다.
이에 연구팀은 촉매로 사용하는 금속 호일을 두루마리로 말아 그래핀 박막을 합성하는 방법을 고안했다.
통상 그래핀 박막은 원료를 촉매표면에 반응시켜 제조하는데 이번 기술에서 제시된 구조를 이용해 그래핀 박막을 제조하면 두루마리의 틈새로 지나가는 원료가 촉매 표면과 반응하는 횟수를 늘릴 수 있어 소모량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두루마리 형태로 촉매를 말아서 공간 효율을 크게 증가시켜 작은 규모의 반응기를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복잡한 설비도 필요하지 않고 제조시간과 에너지도 절감할 수 있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글로벌프론티어 사업 ‘나노기반 소프트일렉트로닉스 연구단’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조길원 교수는 “전도성 그래핀 박막의 생산효율을 극대화시킴으로써 상용화의 큰 걸림돌 중 하나를 해결했다”며 “이렇게 만들어진 그래핀 박막은 웨어러블 스마트 기기와 같이 유연하게 구부러지는 전자소자의 전극으로 응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일간경북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