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표 부위원장 “베이징 동계유치땐 슬라이딩센터 활용”
▲ © 곽영진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조직위원회 기획행정 부위원장 겸 사무총장이 20일 오전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2015년도 조직위원회 주요업무 추진계획' 을 말하고 있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위원장 조양호· 조직위)가 다시 한 번 분산 개최가 힘들다는 입장을 밝히며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에 대해 장황한 설명을 내놓았다.
조직위는 20일 오전 서울 종로구 소격동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1월 정례 브리핑을 열고 올해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발표한 후 질의응답 시간에 분산 개최에 대해 다시 한 번 힘들다는 입장을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뜨겁게 달궈진 분산 개최 논란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구닐라 린드버그(68·스웨덴) 조정위원장이 "IOC는 지난해 '어젠다 2020'을 발표해 올림픽 종목을 개최지 이외의 도시에서도 열릴 수 있도록 했으나 평창올림픽의 경우 현재 계획된 그대로 경기를 치르기로 결정했다"고 밝히면서 일단락되는 듯 했다.
그러나 여전히 평창올림픽 분산 개최에 대한 논란은 쉽사리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경제성, 환경 등을 이유로 분산 개최를 찬성하는 이들은 분산 개최를 할 수 없는 명확한 이유를 내놓으라면서 국내 분산 개최를 대안으로 내놓고 있다.
곽영진 기획행정부위원장 겸 사무총장은 "더 이상 분산 개최에 대한 논란이 없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테스트 이벤트까지 생각하면 시간이 없다.
올해부터 전방위적으로 노력하고 집중해야 한다"는 말로 첫 정례 브리핑을 시작했다.
그는 아이스하키의 서울 분산 개최에 대한 질문에도 "그런 이야기는 생각도 하지 않았다. 분산 개최에 대해 논의할 시간이 없다"며 "각자 하고 싶은 것이 있어도 접고 힘을 합칠 때"라고 강조했다.
분산 개최 논란이 불거지면서 평창올림픽의 올림픽 관련 시설 건설 지연, 사후 활용 계획 등이 도마 위에 오른 만큼 정례 브리핑이 끝난 후 있은 질의응답 시간은 이에 관한 이야기가 대부분이었다.
김상표 시설부위원장은 사후 활용 계획에 대해 장황하게 설명하기도 했다.
김 부위원장은 "경기장 중 크게 문제가 되는 것은 중봉 슬라이딩센터로, 환경영향평가 협의 중에 상부에 있는 부분은 산림자원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다.
그래서 하단부만 스키리조트를 운영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부위원장은 2022년 동계올림픽을 중국 베이징이 유치하면 한국에서 분산 개최를 하는 것도 사후 활용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냈다.
김 부위원장은 "슬라이딩 센터는 선수 연습장으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베이징이 동계올림픽 유치에 나서는데 유치에 성공하면 슬라이딩 센터를 별도로 짓지 않고 한국의 슬라이딩 센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그래서 온전히 보전하는 것이 좋지 않나 생각한다. 한국의 국력을 생각했을 때 그런 경기장이 하나 정도는 있어야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서수정기자